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regulation

전문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바이오 규제이슈 및 정보 제공

신흥 바이오 기술의 선제적 영향평가: GAO의 접근방식과 국내 적용 방안

  • 등록일2024-07-25
  • 조회수1501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박주이, 김태윤/한양대학교
  • 발간일
    2024-07-25
  • 키워드
    #기술영향평가#GAO#체계적 프레임워크
  • 첨부파일

신흥 바이오 기술의 선제적 영향 평가: GAO의 접근방식과 국내 적용방안


한양대학교 박주이 박사

한양대학교 김태윤 교수



기술영향평가(Technology Assessment, TA)는 새로운 기술이나 기술적 변화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선제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임현재 미국에서는 그 권위와 신뢰도가 매우 높은 회계감사원(GAO)에서 기술영향평가를 담당하고 있음. GAO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평가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TA를 위한 체계적인 평가 방법론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음특히GAO의 TA는 규제과학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규제 측면에서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본고에서는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기술영향평가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음먼저 GAO의 기술영향평가와 비교 분석한 결과국내 기술영향평가는 신뢰성학제 간 융합평가 초점의 범위사회적 수용성 등에서 미흡한 점이 도출되었음이를 바탕으로 GAO 사례와의 비교 및 국내 적용 방안을 검토하여 수시 평가독립성·객관성 확보평가절차의 표준화편향 관리 전략 개발고위험 영역 모니터링정책 제안의 구체화공론화 과정 설계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음




Ⅰ. GAO 기술영향평가의 특징


▢︎ 기술영향평가란 새로운 기술이나 기술적 변화가 사회 전반에 어떤 미치는 영향을 선제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으로초기에는 건강 기술에 대한 평가에서 시작되었으며 점차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까지 포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음(Banta, 2009)

  ◦ 미국의 기술영향평가는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에밀리오 다다리오(Emilio Daddario)가 의회를 보좌할 수 있도록 기술영향평가를 제도화해야 함을 주장하며 처음 개념이 제시되었음


    -  이후 1972년 10월 기술영향평가국법(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Act)이 제정되었고, 1974년 기술영향평가 전문조직인 기술영향평가국(OTA,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이 의회 산하에 설립되었음

    - 과도한 예산 사용에 비해 불필요한 기관이라는 비판 하에 OTA는 1995년 해체되었지만기술영향평가의 개념 자체는 중요시 여겨져 미 회계감사원인 GAO(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는 이전 OTA 업무를 이어받아 TA(Technology Assessment) 부서를 설립하였음

  ◦ 미국의 OTA에서 영향을 받은 유럽의 기술영향평가는 국가별로 기술영향평가(이하 ‘TA’)를 도입하였으며나라마다 소규모의 전담기구를 설치하여 기술영향평가를 수행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 7월 발효된 과학기술기본법 제14조와 동법 시행령 제23조에 실시를 명함으로써 기술영향평가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

    - 동법 제20조에 기술영향평가의 수행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을 지정하였고, 2002년 기획연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24건의 기술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음

    - 미국이나 유럽 대부분의 국가는 기술영향평가 수행기관이 의회 산하에 있지만우리나라의 경우 행정부의 주도로 시행되고 있으며 정부 정책의 평가 및 지원도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현재 미국에서는 그 권위와 신뢰도가 매우 높은 회계감사원(이하 GAO)에서 기술영향평가를 담당하고 있으며다양한 분야에서의 평가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영향평가(Technology Assessment, 이하 TA)를 위한 체계적인 평가 방법론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음


  ◦ GAO의 TA는 규제과학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규제 측면에서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내에서의 규제과학화 및 사회적 수용성 제고를 위한 기술영향평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