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regulation
전문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바이오 규제이슈 및 정보 제공바이오 기술 미래상 정립을 위한 첨단바이오 이머징 이슈 분석
- 등록일2024-11-30
- 조회수1199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김유빈/명지대학교
-
발간일
2024-11-30
-
키워드
#첨단바이오#이머징 이슈#미래상
- 첨부파일
바이오 기술 미래상 정립을 위한 첨단바이오 이머징 이슈 분석
명지대학교 김유빈 교수
본 연구는 바이오 기술의 미래상을 설정함에 있어 첨단바이오 분야의 이머징 이슈를 발굴하여 바이오 기술 발전과 시장 변화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 요소를 발굴하여 그 개선안을 찾는데 필요한 의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됨. 이머징 이슈의 도출을 위해 디지털, 바이오 제조, 의료기술, 바이오 난제 등과 같이 바이오 분야의 미래 기술을 선도할 주요 키워드를 국가생명정책연구센터 연구진과 협의를 통해 설정하고, 신규성, 확장성, 파급효과에 기반한 이머징 이슈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1차적으로 이머징 이슈를 내포하고 있을 것으로 보이는 키워드를 식별한 후 추가적인 심층 분석을 통해 최종 이슈를 도출함
1. 첨단바이오 이머징 이슈 분석을 위한 키워드 선정
□ 바이오 분야의 미래 기술을 선도할 키워드 선정 및 WoS(Web of Science) 서지 정보 추출
●바이오 제조 및 설계 고도화를 위한 설계 기술 및 지능화 기반의 바이오 설계 플랫폼,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데이터 인프라에 대한 분석 필요성 제기
●또한, 유전자 치료, 유전체 편집 등을 통한 난치 질환의 치료와 해당 기술에 대한 안정성 모니터링 등과 관련한 바이오 의료 기술 또한 바이오 분야 미래 기술로 포함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대유행 감염병의 재창궐에 대비하여 신속한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진단, 백신, 치료제 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제기
●국가생명정책연구센터 연구진 협의를 통해 이상의 이슈를 포괄할 수 있는 WoS 검색 키워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영문 article 기준 총 38,524건의 문헌을 분석함
검색 기간 | 최종 검색식 |
최근 5년 문헌 | ((platforms* OR AI-driven* OR cloud* OR bioinformatics OR vaccine* OR therapeutic* OR pathogen* OR “precision medicine” OR eco-friendly*) AND (synthetic OR infra*)) AND bio* |
2. 알고리즘을 통한 1차 분석 결과
□ 설정한 검색 조건식을 활용하여 신규성, 확장성,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이머징 이슈 검출 플랫폼 적용
●이머징 이슈 검출 플랫폼을 통해 분석된 이머징 이슈 후보 키워드 및 타분야 파급 키워드를 활용하여 첨단바이오 분야 관련 새로운 연결 관계와 새로운 이슈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20개 키워드를 선별함(※ 분석에 활용된 신규성, 확장성, 파급효과 지표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참고문헌을 참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