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regulation
전문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바이오 규제이슈 및 정보 제공2025년 아실로마 회의: 미래 바이오테크를 위한 규제 논의와 신뢰 구축
- 등록일2025-06-20
- 조회수146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박범순/한국과학기술원
-
발간일
2025-06-20
-
키워드
#아실로마 회의#유전자 재조합#규제
- 첨부파일
2025년 아실로마 회의: 미래 바이오테크를 위한 규제 논의와 신뢰 구축
한국과학기술원 박범순 교수
1970년대 초 유전자재조합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과학계 내부에서 기술의 위험성에 관한 사회적 논쟁이 촉발되자, 과학자들은 연구를 중단하는 모라토리엄을 선언하고 1975년 미국 아실로마(Asilomar) 회의를 개최하여 모라토리엄 해제 조건을 논의하였음. 최근 회의 개최 50주년을 기념하여 2025년 2월에 열린 아실로마 회의에서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규제 이슈와 해결 방안을 토론함. 이후 2025년 회의의 결과물로 27개의 소청서를 발표하고, OECD-후버연구소 워크숍을 통해 신뢰에 관한 정책적 논의를 진행하여 주요 내용을 소개함
1. 왜 아실로마인가?
□ 배경
●1970년대 초 유전자재조합기술의 개발로 이 기술이 가져올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논의가 일어났음. 이 분야의 핵심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첨단기술의 위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일정 기간 연구를 중단하자는 “모라토리엄(moratorium)”이 1974년 선언됨. 그 다음 해인 1975년, 이들은 미국 캘리포니아 해안 지역에 있는 아실로마(Asilomar) 콘퍼런스 센터에 모여 모라토리엄을 해제하는 방식과 조건을 구체적으로 논의함
●이는 과학자들이 연구가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미리 예견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만든 거버넌스 모델로 여겨지고 있음. 이후 회의 개최 장소 및 분야와 관계없이, 예컨대 재생의료, 인공지능, 지구공학과 같은 분야에서도 1975년 아실로마 회의를 소환해 “아실로마의 순간들”을 재현하려는 노력이 일어남
●지나치게 연구자 중심 거버넌스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처음부터 있었음. 하지만 첨단과학을 개척하는 과학자가 먼저 문제를 제기한 점은 중요하게 볼 수 있음. 이 이슈가 “신뢰 구축”과 관련이 있음
●당시 참가한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과 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논의해야 한다는 인식은 크지 않았음. 예를 들어 David Baltimore는 다음과 같은 발언을 했음: “과학자들이 세상과 완전히 동떨어진 상태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수 있는가는 심각하게 논의되지 않았다”(1975).
●Robert Sinsheimer도 비슷하게 좀 더 폭넓은 사회적 이슈를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인정함: “아실로마 회의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가져올 수 있는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또는 윤리적 함의, 즉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포함한 지구상의 동식물에 대한 장기적이고 대규모적인 유전공학의 서막이 될 가능성에 대한 역할에 대해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1975).
●또한 유전자재조합기술이 생물학적 무기(bioweapon)에 활용될 수 있을 것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음. 소련은 비밀리에 이 프로젝트를 진행함. 이에 대해 David Baltimore는 그때는 순진했었다고 회고함: “우리는 다소 순진하게도 생물학적 무기 제작을 위한 기술 사용을 금지하는 조약이 모두에게 지켜지고 있다고 믿었다. 우리는 분명히 아실로마에서 생물전과 관련해 미완의 과제를 남겨둔 셈이다”(2006).
2. 2025년 아실로마 회의
□ 목적
●2025년 2월, 아실로마 유전자재조합기술 회의 50주년을 기념하여 같은 장소에서 회의가 열림. 회의 제목은 “아실로마 정신과 바이오테크의 미래”로, 50년 전에 아실로마 회의를 통해 얻으려고 했던 것, 한계로 드러난 것, 앞으로 고려해야 할 것을 다룰 목적으로 개최
□ 주최 및 후원
●Stanford 대학의 합성생물학자인 Drew Endy와 Rice 대학의 과학사 Luis Compos가 Science History Institute의 후원을 받고 조언을 얻어 개최한 것임. 이밖에 다수의 후원 재단과 단체가 있었음
●모든 참석자는 주최 측의 초대를 받은 사람이며, 대부분 경비 지원을 받았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바이오 분야 단기 기술영향평가 방법론 및 실증연구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