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08-03-05
  • 조회수25441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저자/소속
    한세광/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발간일
    2008-03-05
  • 키워드
    #약물전달시스템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08년 3호 [약물전달시스템]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현황 및 전망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조교수 한세광


I. 서  론

 

  생명공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제약산업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 신약으로서 FDA 승인을 받아 상업화에 성공하여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소위 블록버스터 신약은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신약개발의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신약과 같은 파급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신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약물전달시스템은 약물의 방출, 흡수를 제어하거나, 체내의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효능을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약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특허만료를 앞둔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진다. 약물전달시스템의 시장규모는 2004년 기준으로 약 6,530억 달러로 추정되는 전체 의약품 시장의 약 1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어졌으며 향후 의약품 시장의 최소 20%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되어진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과 BT, IT, NT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약물전달 디바이스 시스템의 기술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앞으로의 발전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