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조류인플루엔자 현황 및 문제점 그리고 대응연구동향
- 등록일2008-05-23
- 조회수16110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김철중 교수/충남대 수의대
-
발간일
2008-05-23
-
키워드
#조류인플루엔자
Bioin 이슈&특집 2008년 Vol.01 [조류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현황 및 문제점 그리고 대응연구동향
김철중 교수/충남대 수의대
1.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란 어떤 질병인가?
조류인플루엔자는 다양한 종과 타입을 가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으로써 감염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전염성이 강하며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질병이다. 원인 바이러스는A, B, C, 3가지 type 으로 분류되며 주로 인간과 동물에 문제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type A 바이러스이다.
Type A influenza virus는 Orthomyxovirus로서 8개의 segmented RNA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10가지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10개의 단백질 중 표면 단백질인 Hemagglutinin (HA,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백질)과 Neuraminidase (NA, 세포로부터 바이러스가 분리되어 나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에 의해 각 subtype을 나눌 수 있다. 현재 자연계에는 16 종류의 HA와 9종류의 NA가 발견되어 총 144가지의 아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조류, 특히 야생조류에서는 144개의 아형이 모두 발견되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로 알려져 있다. 흔히 사람에 감염 되는 바이러스로는 H1N1 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H3N2 등이 주로 어린이와 노약자에 감염되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인플루엔자는 사람에게 열, 두통, 인후통, 몸살, 코막힘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호흡기성 전염병으로 매년 겨울 발생한다. 이것은 어른 100명 중 5명, 어린이 100명중 20명에서 매년 질병을 일으키며, 세계적으로 노인과 어린 아이에서 250,000~500,000의 사망자를 발생시킨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20세기동안 4번의 범세계적인 pandemic 발생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와 큰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그림. 1). 1918년 발생한 대유행은 H1N1 type 으로 Spanish Flu로 불리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3천만에서 5천만에 이르는 인명이 사망하였다. 이후 1957년에는 H2N2 type으로 Asian Influenza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백만명이상의 인명피해가 있었으며, 1968년에 발생한 Hong Kong Flu는 H3N2 type에 의해 백만명 가까운 인명 손실을 초래하였다. 가장 최근에는 1977년 Russian Flu로 H1N1에 의하여 대유행이 있었다. 이러한 대유행은 최근 바이러스의 유전적 분석을 통하여 직, 간접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되었음이 밝혀졌다. 특히 최근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5N1(1997년), H9N2 (1999년), 캐나다의 H7N3 (2004년), 그리고 네덜란드에서 문제가 되었던 H7N7 (2003년) 등은 모두 야생 또는 가금의 조류바이러스가 직접 또는 변이를 통해 사람에게 전파되어 많은 인명 피해를 낸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대유행이 다시 임박한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그중 H5N1은 고병원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닭에서는 다양한 내장장기에 감염되어 48시간 이내에 90~100%의 치사율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1997년 H5N1 으로 인해 홍콩에서 18명의 사람이 감염되어 그중 6명이 폐사하였다. 이후 2003년 말 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유럽과 아프리카로 확산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 2006년 및 2008년에는 조류에서 고병원성 인플루엔자가 발생하여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알아보자!! 조류인플루엔자
-
다음글
- 조류인플루엔자 현주소 및 미래전망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