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생명과학(Life Science)의 20/20비전
- 등록일2008-08-01
- 조회수9933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발간일
2008-08-01
-
키워드
#Biotech2008#2020
생명과학(Life Science)의 20/20비전
2008. 8. 4/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미국 Burrill & Company에서 최근 발간한 보고서「Biotech2008 LIFE SCIENCES : |
□ 20/20 비전 : 2020년의 바이오텍 세계
○ 시스템생물학의 진보로 의약품 개발은 대부분 컴퓨터로 수행하게 됨
○ 부품화 : 사람들의 장기를 제품으로 구입하거나 자신의 장기를 생산할 수 있음
○ 스마트 카드(개인 유전정보와 보건기록 내장) 실현으로 치료 및 예방의 중앙 관리화* 가능
* 생체정보(유전자, 단백질 등) 데이터 ▶ 중앙실험실(고성능 컴퓨터) 분석 ▶ 스마트 카드 정보와 비교 분석 ▶ 의사와 환자에게 정보 제공
○ 고용주와 정부가 운동 처방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종업원들에 보상해 줌으로써 예측과 예방을 중요시 함
○ 진단, 의약품 및 전달체와의 결합으로 새로운 의약품 개발에 따라 조합요법(combination therapies)의 일상화
○ 농업생명과학 : Transgenic이 주류를 이루며, 각 나라마다 자체 GM기술을 개발하며, 식물유래 의약품 개발의 현실화
○ 산업생명공학 : 환경문제에 따라 바이오연료 경제가 형성되며,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 의존하고 에탄올은 과도기 사업이 될 것임
○ 전 세계 의약품 시장이 두 배로 증가되어 1조 3천억 달러 규모이며, 나노, 바이오, 정보, 재료기술의 융합으로 중국과 인도의 바이오 기술이 진보할 것으로 예상됨
□ 기술융합과 보건의료 재정의
○ 2020년의 생명공학은 타 분야의 융합으로 실현됨
※ BT-IT : 유전체, 단백체, Bioinformatics
BT-NT : 바이오전자, 마이크로유체, 나노바이오, 약물전달
BT-IT-NT : 바이오센서, 바이오칩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2008년 국가별 바이오 최신 동향
-
다음글
- 바이오융합기술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