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메타단백체 분석 (Metaproteomics)

  • 등록일2008-09-25
  • 조회수17042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강성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의생명이행연구센터
  • 발간일
    2008-09-29
  • 키워드
    #단백질체#프로테오믹스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08년 6호 [단백질체연구]

 

메타단백체 분석 (Metaproteomics)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의생명이행연구센터 선임연구원 강성현


 

1. 서론


 미생물군집 Microbial Community 에 대한 연구는 약 40년 전부터 의학과 농학관련 연구들로부터 시작되어 왔으며, 미생물들과 주변환경과의관계를 규명하는 미생물 생태학 microbial ecology 이라는 분야로 확립되었다. 미생물은 크기가 작고, 종의 분류가 복잡하며, 유전자나 대사과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기존의 생태학과 차별되는 기술과 개념을 필요로 한다 (그림 1).

 


 

1960년대 이후 활발히 이루어진 미생물 연구는 실험실에서 순수 배양한 미생물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미생물간 혹은 미생물과 환경간의 연관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다. 1987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의 Thomas D. Brock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미생물은 원 서식지의 발견되는 미생물과 다른 활성과 생리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노르웨이의 Lars R. Bakken 과 독일의 Karl H. Schleifer는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90%이상이 실험실에서 순수 배양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사실들은 기존의 배양기술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선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다양성을 충분히 밝힐 수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계의 극복을 위해서, 미국 인디애나 대학의 Norman R. Pace는 배양과정이 없이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집에서 rDNA유전자를 추출 분석하여, 군집내 미생물들의 계통분석을 하는 방법을 개발해 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