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마우스모델을 이용한 노화연구의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09-01-23
- 조회수15225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저자/소속
유대열/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수과학연구센터
-
발간일
2009-01-23
-
키워드
#노화연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8호 [노화연구동향]
마우스모델을 이용한 노화연구의 동향 및 전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수과학연구센터 유대열
서론
우리나라는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 의료혜택, 및 영양상태의 개선에 의해 삶의 질이 개선됨에 따라 평균수명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멀지 않은 장래에 선진국처럼 고령화 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1955년도 우리나라 인구 중 65세 이상의 노인은 전체인구 대비 3.3%였었는데 2008년도 고령자 통계에 의하면 10.3%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2026년이 되면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20%를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 사람들이 장수하게 됨에 따라 고령화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인 정책이 절실하다.
노화문제를 생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화현상에 대한 바른 이해와 예방 및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노화는 수정란에서부터 시작하여 사람이 사망할 때까지 일어나는 전 과정으로서,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와 신체조직 전체에서 일어난다. 사람이 늙어감에 따라 세포와 조직단위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기능적, 구조적, 생화학적 변화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나는 현상으로는 세포조직 수의 감소, 대사속도 저하, 질병증가, 그리고 적응력의 저하 등이 있다. 그러나 노화 현상이 정확히 언제, 어떤 신체기능이, 어떤 경로를 거쳐 나타나는 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노화연구를 위해서는 연구에 적합한 모델이 필요하다. 특히 노화연구는 사람의 노화를 어떻게 조절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이므로 사람과 유전학적, 생리학적, 해부학적으로 유사하며 실험하기 용이한 실험동물을 택하여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험동물로는 그러한 점에서 마우스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연구자들에게 널리 애용되고 있다. 물론 마우스보다 하등동물인 꼬마선충과 초파리를 이용해서도 노화연구를 많이 하지만 이들 모델동물은 노화현상을 스크리닝하는 데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동물을 이용해서 얻은 결과는 마우스를 통해 다시 한번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므로 마우스가 노화연구에 적합한 실험동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