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한미FTA이후 제네릭의약품 개발 및 대응전략
- 등록일2009-03-23
- 조회수16080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저자/소속
정윤택/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발간일
2009-03-18
-
키워드
#제네릭의약품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9호 [신약개발 바이오의약품]
한미FTA이후 제네릭의약품 개발 및 대응전략
정윤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약화장품팀
1. 서 론
미래 핵심전략산업 육성 및 사회변화에 따른 시장수요 변화·확대 전망에 따라 제약산업등 육성 필요성 증대되고 있다. 세계제약시장은 약 6,430억불(IMS社,’06년)로 메모리 반도체시장(608억불)의 10배 수준으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부가가치와 성장성 지니고 있다. 또한 IMS社에 따르면 전세계 제약 시장 전망은 2006년에 6,430억불에서 2010년에는 9,900억불로 연평균 8%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며, 세계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07년 기준으로 7,120억불 수준(IMS Health社)이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은 9.3%(‘03년~’07년)로 세계 제약산업의 시장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국내제약산업의 시장규모는 2007년 기준으로 약15조 897억원으로 전년대비 6.4%증가하였다. 이는 국내 제약기업의 총생산이 12조 6,258억원)이고 수출은 9,469억원이며 수입은 3조 4,108억원이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8.3%의 성장률과 국내 의약품 산업은 제조업 GDP에 5.65%, 전체 GDP에 1.4%수준이다.1)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발전을 통해 국민적 입장에서는 값이 저렴하고 우수의약품을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공급되는 것이 필요하고,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고부가치산업을 대표하는 산업에 맞게 미래의 핵심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명제를 갖고 있다.
1) 이병관, KHIDI 보건산업리포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12.31
제약산업은 그간 1987년 물질특허도입전 제법특허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합성기술, 제제화기술은 세계 최고의 수준에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네릭의약품의 강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