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칼럼]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대유행의 기로에서

  • 등록일2009-05-08
  • 조회수10738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 저자/소속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 발간일
    2009-05-08
  • 키워드
    #신종 인플루엔자

 

 

Bioin 이슈&특집 2009년 Vol.02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칼럼]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대유행의 기로에서


 

 

 

이재갑 조교수/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신종인플루엔자의 유행 소식이 국내 언론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4월 25일 멕시코에서의 감염 환자 중가 및 사망자가 보고된 후였다. 멕시코에서는 첫 환자 확인이 4월 13일에 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후로 5월 5일 저녁까지 전세계 21개국에서 모두 1490명의 신종인플루엔자 감염 환자 및 30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다. 20여일도 되지 않아서 전세계로 감염이 확산된 것이다.

 

이미 2003년 사스, 2004년 조류인플루엔자(AI) 때도 경험했지만, 신종 바이러스 감염이 한 지역에서 발생하더라도 국제적인 문제로 발전하는 것은 전세계가 발달된 교통시스템으로 묶였기 때문이다.

 

신종인플루엔자는 A형 인플루엔자이며 혈청형은 H1N1이다. 초기 돼지에게서 직접 전파되었다는 보고가 없었음에도 돼지 인플루엔자라고 불리운 이유는 돼지에서 유행하는 인플루엔자와의 유전적 연관성 때문이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 및 조류에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킨다. 종간 장벽이 있어 사람, 돼지, 조류에서 각각 다른 바이러스들이 감염을 일으키지만, 숙주 내 중복감염 등을 통하여 유전자의 교환이 일어나면, 종간 장벽을 넘어서는 형질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돼지는 이러한 중복감염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