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생물농약의 연구개발 동향

  • 등록일2009-06-05
  • 조회수19160
  • 분류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10호 [농업생명공학]

 

 

생물농약의 연구개발 동향

 


 

 

 

                                   김진철  한국화학연구원 산업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서론

 

식물은 생장하면서 다양한 병원균과 해충 그리고 다른 식물에 의해 생장에 지장을 받고 있다. 특히 농산물을 얻기 위하여 동일한 식물체를 다량으로 한 지역에서 재배하는 작물의 경우 더욱 이들 유해 생물에 의해 심하게 피해를 받는데, 작물에 따라 30% 내지 100%의 수확량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인류는 오랫동안 농작물을 이들 유해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며,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합성농약이다. 합성농약의 경우 수확량 증가를 통하여 인류에 많은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나, 합성농약의 오용과 남용은 환경·생태오염, 잔류독성, 저항성 병원균·해충·잡초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특히 일부 합성농약의 경우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어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국가에서는 합성농약과 합성비료의 사용량을 줄이고자 하는 친환경농업정책을 펼치고 있다. OECD국가의 경우 합성농약의 생산량을 2013년까지 40%를 감축하는 규제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과 더불어 wellbeing시대를 맞이하여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전환됨에 따라 안전한 먹거리, 즉 유기농산물을 포함한 친환경농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1990년대 초반부터 매년 20%씩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후반부터 친환경농산물의 시장이 급속히 증가하여 왔다(표 1).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및 저농약농산물을 합한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량은 2008년에 11.9%, 재배면적은 9.9%, 그리고 농가의 수는 14,2%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의 국가들은 2005년까지 전체 농산물의 5% 내지 10%, 2010년까지 10% 내지 20%를 유기농업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덴마크와 독일은 2010년까지 20%, 네덜란드는 2010년까지 10%를 유기농산물로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기농산물의 비중이 높은 나라는 쿠바로서 1998년 현재 19.7%가 유기농산물이 차지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