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GMO 관련 특허전략 고찰

  • 등록일2009-06-05
  • 조회수16776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10호 [농업생명공학]

 

 

GMO 관련 특허전략 고찰

 

 

 

권오희  특허청 식품생물자원심사과

 

 

Ⅰ. 주목받는 GMO

 

파란색 장미, 주황색 페튜니아, 수박 크기의 감자 ……
예전에는 상상하지도 못했던 새로운 식물들이 선보이고 있다. 바로 유전자조작기술 이라는 마술 덕분이다.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재배합하거나, 돌연변이를 일으켜서 유전자의 성질을 바꾸어 놓는 유전자조작기술은 유전자공학의 기초가 되는 기술로 이제껏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새로운 종(種)을 창출하는가 하면, 유용물질을 생산하고, 지구환경을 개선하는 역할까지, 그 마술의 위력을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지구촌은 지금 예고 없이 몰아닥치는 환경재앙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적 환경재앙에 따른 농토의 사막화로 인해 동식물의 생존이 불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각종 질병을 초래하여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지구촌의 먹을거리 부족문제는 날이 갈수록 그 심각성을 더해가는 반면,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에 따른 농지의 감소 등으로 인해 먹을거리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웰빙 추세에 따라 특정의 기능성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부응하기 위한 새로운 식물종(種)의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식량위기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식량위기를 타개할 만한 뚜렷한 해법은 보이질 않고, 오히려 세계 각국은 저마다 제 살길 찾기에만 급급한 실정이다. 바야흐로 지구촌은 식량위기의 덫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는 모양새다.

인류가 당면한 먹을거리 부족문제에서부터 각종 질병예방과 환경문제 해결에 이르기까지, 지금 우리는 유전자조작기술이라는 마술에 한 가닥 희망을 걸고 있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많은 수량을 낼 수 있는 유전자조작농산물(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이 개발된다면 인류의 식량문제는 그나마 급한 불을 끌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GMO를 통해서 인체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신약물질이 개발되고, 지구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다면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해결될지도 모른다는 섣부른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제 GMO는 우리의 삶과 뗄래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