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2세대 바이오연료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09-07-13
- 조회수23629
- 분류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저자/소속
이진석/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연구센터
-
발간일
2009-07-13
-
키워드
#바이오연료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11호 [바이오에너지]
2세대 바이오연료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이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연구센터
1. 서론
1)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필요성
최근 석유자원 고갈과 기후변화 문제가 지속 성장사회 실현에 주 장애요인으로 대두됨에 따라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중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에너지는 타 재생에너지의 적용이 불가능한 수송 부문에서 직접 적용 가능하여 석유 에너지의 직접 대체 효과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즉 현재 차량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와 경유는 자원이 한정된 석유로부터 만들어지므로 석유 고갈에 대한 우려가 항상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료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원 고갈 걱정이 없는 재생 에너지의 활용이 필요하다. 바이오연료 이외에도 태양광, 풍력, 수소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가 있지만 이러한 재생에너지는 전용 차량과 보급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태양광, 풍력 등은 전기를 생산하므로 전기 자동차 그리고 수소의 경우에는 수소 또는 연료전지로 구동되는 자동차의 개발이 각각 필요하며 전기 또는 수소를 차량에 공급하기 위한 충전소도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차의 개발 보급과 충전소의 설치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재생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차량은 단기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하지만 바이오연료는 기존의 차량연료인 휘발유, 경유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현재 운행 중인 차량과 기 구축된 주유소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장 경제적이다. 또한 바이오연료의 제조에 원료로 사용되는 식물은 자라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므로 바이오연료의 사용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효과가 낮아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자원의 고갈 문제도 없다 ([그림 1]).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