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해양천연물연구와 신약개발 동향

  • 등록일2009-09-25
  • 조회수17806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그린바이오 > 해양수산기술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12호 [해양생명공학]

 

 

해양천연물연구와 신약개발 동향


 

 

 

  신종헌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1. 서론

 

지구상에 서식하는 많은 생물들은 체내 대사작용의 결과로 다양한 유기물질을 생성한다. 이들 천연물에 대한 연구는 생명과학과 정밀화학적 연구개발의 기반이며 의약품 등 새로운 산업적 소재의 개발에 필수불가결한 소재와 정보를 제공한다 [1]. 천연물 연구개발의 중심은 전통적으로 생약을 비롯한 육상의 식물들과 토양방선균, 진균 등 미생물이었으나 선진국에서는 수 십년 전부터 해양생물을 생리활성 신물질의 새로운 원천으로 인식하고 많은 연구개발을 하여 왔다. 더욱이 근래에 이르러 유요물질 전통적인 보고이었던 육상생물로부터 신물질의 개발이 점차로 정체되는 경향을 나타냄에 따라 해양천연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1990년대 초반부터 미국, 일본, 호주 등에서는 해양천연물을 21세기 생명공학의 필수 기초분야의 하나로 지정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대만, 러시아, 브라질 등에서도 연구개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생약의 오랜 기반과 인프라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오히려 해양천연물이 천연물연구개발의 본류에서 소외되어 있고 연구의 수준도 높지 못한 실정이다.

 

본 종설에서는 천연물의 가장 중요한 이용분야인 신약개발의 관점에서 해양생물의 생의학적 중요성과 해양천연물 연구개발의 발전방향, 현황,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