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연구개발 및 산업화 동향

  • 등록일2009-11-16
  • 조회수22955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김태억,김성우/(주)K2B
  • 발간일
    2009-11-16
  • 키워드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Bioin 이슈&특집 2009년 Vol.07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연구개발 및 산업화 동향

 

- 바이오산업 범용기술플랫폼(General Purpose Technology) -

 


(주)K2B, 경제학박사 김태억, 의학석사 김성우

 

 

 

[목 차]

 

 Ⅰ. Introduction

 Ⅱ. Overview
   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란 무엇인가?
   2. 학제적 발전과 신생산업의 특징
   3. 합성생물학의 이론적 과제

 Ⅲ. Synthetic Biology Technologies
   1. 합성생물학의 이론적 기반
   2. 합성생물학의 기술적 과제와 주요 연구개발 동향
    1) Enabling 기술
    2) 합성생물학의 생물학적 구성요소
    3) 시스템 통합 기술
    4) Enabled 기술

 Ⅳ. Synthetic Biology Markets & Industry
   1. 시장개황
   2. 합성생물학의 산업적 효과
   3. 수요자별 시장전망
    1) R&D Market
    2) Biotechnology & Pharmaceutical Markets
    3) Chemicals Market
    4) Energy Market
  4. 지역별 합성생물학 시장

 Ⅴ. 특허 동향
   1. 원천특허
   2. 합성생물학 산업특허 분석

 Ⅵ. 참고문헌

 

 

본 보고서는 미국과 유럽연합 등 주요 선진국에서 2000년 이후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을 주제로 세계적인 연구개발 동향 및 산업화 전망을 분석한 결과이다.

 

합성생물학은 바이오 기술 및 산업 전반에 걸친 범용기술기반의 성격을 가지는 동시에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엔지니어링 기술을 중심으로 한 학제간 융합의 전형이라고 간주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이 합성생물학을 통해 바이오 2.0시대가 도래했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 이후 합성생물학에 주목하는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몇몇 벤처기업들의 경우에는 합성생물학 연구성과에 기반한 Upstream Products를 개발하고 있기도 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합성생물학의 산업적 활용가능성 및 시장전망을 제시하고 있는 세계적인 분석보고서들을 참조하여 합성생물학 관련 Review Paper나 합성생물학 구성분야의 우수 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 합성생물학 기술의 전체적인 구조, Up-Down Stream 가치사슬, 그리고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뒤 관련된 원천특허를 추적해본 결과이다.

 

하지만 분량상의 제약으로 인해 산업적 활용 가능성과 관련된 세부적인 최신 기술개발 동향, 합성생물학 기반 선진기업들의 기술-제품 프로파일, 우리나라에서의 연구개발 동향 및 관련기업 분석 등에 대해서는 본 보고서에서 담지 못했다. 본 보고서에서 담지 못한 추가적인 정보는 별도의 방식으로 제공 가능하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