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기능성 식품산업 시장현황 및 천연물 소재 연구개발
- 등록일2009-12-08
- 조회수28519
- 분류제품 > 바이오식품, 제품 > 바이오자원
-
저자/소속
김태억, 김성우 /(주)K2B
-
발간일
2009-12-08
-
키워드
#식품산업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09년 Vol.08
기능성 식품산업 시장현황 및 천연물 소재 연구개발
김태억 경제학박사, 김성우 의학석사 / (주)K2B
[ 목 차 ]
1. 건강 기능성 식품 개요
1)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정의
2) 기능성 식품의 구분
3) 기능성 식품과 의약품의 판매 위상에 대한 비교
4) 연구의 역사
2.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건강기능성식품 시장의 특성
3) 기능성 식품의 제품 사례
4) 기능성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5) 규제 및 가이드라인
6) 국내 시장 동향
7) 최근 국내 출시 제품 동향
8) 종합 분석
3. 신기능성 식품소재 기술개발 및 산업화
1) 연구 분야
2) 국가별 현황 및 연구동향
3) 질환별 건강기능식 개발현황
4) 건강기능식품 및 천연소재 화장품
5) 천연소재 화장품 및 건강미용식 소재
6) 미생물 대사공학 기반 최신 기술동향
7) 국내 연구동향
본 보고서는 건강 기능성 식품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업성 전망 및 사업 추진시 고려해야 할 전략적 요인들을 도출한 것입니다.
본 보고서의 작성과 관련하여 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기능성식품의 시장동향], 바이오그린21사업 연구동향 분석과제 결과보고서 중 [신기능성 농업생물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 발명진흥회의 기능성 식품 관련 자료, 식품연구원의 기능성 식품에 대한 근접 평가, 그리고 농촌진흥청의 바이오기능성물질 개발 워크샵 자료 등을 참조하였으며, 그 외 해외정보들은 Frost Sullivan의 관련 보고서, 그리고 다수의 해외 단행본들을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특히 미생물 대사공학을 활용한 주요 소재생산 기술의 개발현황과 관련한 내용은 서울대 서진호 교수의 Bio-in Special Report를 참조하여 요약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