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한의약 연구의 미래와 전망
- 등록일2010-01-21
- 조회수12944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저자/소속
한창연/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신기술개발단
-
발간일
2010-01-21
-
키워드
#한의약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0년 14호 [한방의약품 개발동향]
한의약 연구의 미래와 전망
한창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신기술개발단
1. 起 : 한의약 이야기를 열며
자연 치유에 대한 선호와 더불어 치료보다는 예방으로 전환하려는 시대적 트렌드가 결합되어, 기존 의학적 치료에 대한 의료비와 부작용 해결방안으로 전통의학적 치료 영역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한의약에 대한 가치가 재평가 되고 있고 있으며 이는 자연스레 한의약 연구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세계보건기구(WHO)는 전통의약이 정신건강, 질병예방, 비감염성질환, 만성질환, 노인성질환에 탁월한 효과에 근거하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각국의 전통의약을 활용하여 자국 실정에 맞는 건강증진법을 개발할 것과 전통의약을 현대의료체계에 결합시킬 것을 권장하고 있어 향후 한의약 연구개발의 질적 양적 성장은 한의계 내부만이 사회 전체의 과제로 부각될 정만이다.
이러한 한의약의 대내외적 환경을 바탕으로 한의약 연구의 미래를 조망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한의약 연구가 전체 기술발전 단계에서 어떤 단계에 와 있으며 최종산물인 한의약 치료기술 및 한의약 관련 제품이 관련 산업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느냐 하는 질문은 대한 답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 보건의료환경에 대응하고 기존 의과학과의 보다 효과적이고 적합한 접목을 이루어내는 임무가 지금의 한의약계에 당면한 과제라면 이에 대한 해법을 지금의 한의약계가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현재의 한의약 연구를 넘어서 미래의 한의약 연구를 조망할 수 있는 좋은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국가 한의약연구개발사업 투자현황을 중심으로 한의약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한의약 연구의 문제점 그리고 한의약 연구의 발전방향을 가름해 보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