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용 한약제제 LMK02
- 등록일2010-01-21
- 조회수19080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저자/소속
유영수/원광대학교 부속 전주한방병원 신경과
-
발간일
2010-01-21
-
키워드
#한방의약품#알츠하이머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0년 14호 [한방의약품 개발동향]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용 한약제제 LMK02
유영수 원광대학교 부속 전주한방병원 신경과
1. 서론
2007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환자는 약40만 명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8.3%에 이르고 있지만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타크린(Tacrine), 도네피질(donepezil), 갈란타민(Galantam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멘만틴(Memantine) 등 5종의 치매 치료제만이 허용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그나마 대부분 화학적으로 조제된 의약품으로 안정성과 부작용 및 독성문제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현실적으로 치료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진은 보다 부작용이 적으면서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매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에서 2년간의 연구결과로 천연물 유래의 강력한 항치매 효과를 나타내는 장원환가감방인 LMK02를 개발하게 되었다.
LMK02는 동의보감 건망편 처방에 기원을 둔 천연물 치매 치료제로 설치류 단회 및 반복투여 독성실험, 미생물한도, 중금속, 농약잔류 검사등을 통해 안정성이 입증되었고, 홍삼 중 Ginsenoside Rg3와 당귀 중 총 데쿠르신를 지표물질로 설정하여 정제형태의 제품의 안정성도 입증하여 매우 안전한 약물로 밝혀졌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LMK02가 실험적으로 Aβ oligomer에 의해 해마세포주인 H19-7와 APP/GRIM 형질전환 치매 초파리 모델 그리고 알츠하이머병 마우스 모델인 Tg-APPswe/PS1dE9에서 신경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대뇌에서의 Abeta(42)의 양과 Amyloid 침착 정도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LMK02의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였고, 2009년 8월 24일 식약청 2상 임상시험승인을 허가 받았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