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바이오에너지 기술-산업 프론티어 분석

  • 등록일2010-02-03
  • 조회수26272
  • 분류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저자/소속
    김태억 기술경제학 박사, 김은경 생명공학 박사/(주)K2B
  • 발간일
    2010-02-03
  • 키워드
    #바이오에너지#목질계 바이오연료

 

Bioin 이슈&특집 2009년 Vol.10

 

바이오에너지 기술-산업 프론티어 분석


- 목질계 바이오연료를 중심으로 - 
 

 


(주)K2B   김태억 기술경제학 박사, 김은경 생명공학 박사


 

목   차


Ⅰ. 서론

 

Ⅱ. 바이오에너지 기술 및 산업동향
  1. 그린 에너지, 바이오연료
  2. 바이오연료의 종류
  3. 세계의 바이오연료산업 개황

 

Ⅲ. 목질계 바이오에너지
  1.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에탄올화
  2. 이오젠의 사례
  3. 목질계 바이오연료의 경제성
  4. 미국의 목질계 바이오연료 R&D 동향 및 정부지원

 

Ⅳ. 최신 기술동향
  1. 목질계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위한 경제적 조건
  2.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신생기술 개발
  3. 전처리공정
  4. 하이드로시스
  5. 헤미셀룰라제
  6. 리그나제
  7. 셀룰라제의 생산
  8. 셀룰루좀과 콘소시아
  9. 효소 고정화 기술
  10. 에탄올화 기술
  11. 대사재설계
  12. 미세조류의 가능성과 잠재력

 

 

Ⅰ. 서론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 및 특허등록을 기준으로 본다면 2000년대 이후 가장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는 영역은 단연 바이오에너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태양광을 비롯해서 풍력, 조력, 수소에너지 등 다양한 대안 중에서도 바이오에너지 분야가 특히 주목되는 것은 가장 많은 에너지 소비원 중 하나인 교통수송용 연료를 대체할 가장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이라는 점, 목질계 혹은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의 경우 일정 수준의 자립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 빠른 기술혁신으로 인해 빠른 기간내에 석유에너지에 대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 바이오매스의 지속적 공급을 위해 농림수산업 분야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바이오에너지의 경우 바이오연료 외에도 결합생산물 혹은 파생생산물을 통해 현대 경제의 전 분야에 걸쳐 기초-중간재를 제공하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