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식물공장의 동향과 발전 전망

  • 등록일2010-09-27
  • 조회수15713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김정호/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발간일
    2010-09-27
  • 키워드
    #식물공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0년 18호 [식물공장]

 

 

 

식물공장의 동향과 발전 전망

 

 

 

 

 

 

 

                        김정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서 론

 

 

 

최근 들어 ‘식물공장’과 관련된 뉴스가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근년에 우리나라가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의 선진국으로서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시점에서, LED 기술을  활용한 식물공장의 사업화 사례들은 농업기술과 첨단산업기술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세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일찍이 식물공장시스템을 개발한 네덜란드에서는 분화(盆花)식물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에는 50여개의 식물공장이 상업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미국 뉴욕과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수직농장(vertical farm)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농촌진흥청을 필두로 식물공장 연구가 수행되어 몇몇 민간기업과 연구소에서 상업화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물공장을 기반으로 하는 빌딩농장을 건설하겠다는 구상이 발표된 바 있다.

 

 

 

식물공장은 간단히 말하면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고 인공 광원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시설농업이며, 날씨나 계절에 관계없이 사철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료나 농약 등의 사용도 줄일 수 있다. 특히 LED 광색 파장을 통해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광합성 촉진, 개화 조절, 곰팡이 발생 억제 등 생육조절에 필요한 획기적인 성능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농업생산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식물공장은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과학적으로 관리하며 비료나 농약을 저투입하는 정밀농업(precision agriculture)의 성격을 가지므로, 일반 농산물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오늘날 고품질·안전 농산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구매패턴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식물공장 방식은 개방시대 농업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생명공학기술이 농업 분야에 접목됨에 따라 농업의 새로운 활로가 기대되는 측면도 부각되고 있다. 식물공장은 ‘공장’이라는 용어가 함축하는 바와 같이 농업과학기술에 기계, 전기, 전자, 제어, 환경 등의 첨단기술을 접목하여 공장형 농업을 실현하는 첨단기술농업의 한 형태이다. 따라서 한국 농업이 선진국형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술적인 초석을 다지는 의미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