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선진국의 식물공장 현황

  • 등록일2010-09-27
  • 조회수27228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Bioin스페셜 WebZine 2010년 18호 [식물공장]

 

 

선진국의 식물공장 현황

 

 

 

 

 


이용범, 최기영
서울시립대학교 자연대 환경원예학과  교수 

 

 

 

 

 

1. 식물공장의 개요

 

 

 

식물공장이란 시설내에서 광, 온도, CO2, 습도, 기류속도, 무기영양 등의 재배환경을 최적상태로 제어하고, 재배공정을 자동화하여 식물을 연속적으로 계획 생산하는 효율성 높은 식물생산시스템을 뜻한다. 여기서 식물이라 함은 식물체전체, 식물조직, 식물세포를 뜻하며, 이들을 다시 대량생산체계에 따라 고도수경재배시스템으로 식물을 생산하는 좁은 의미의 식물공장, 클론증식시스템, 세포대량배양시스템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앞으로 언급하는 식물생산시스템은 고도 환경제어와 자동화 기술을 이용하여 공산품을 생산하는 것처럼 시설내에서 수경재배방식에 따라 농산물이나 고기능성의 바이오매스를 주년 계획 생산하는 식물공장생산시스템만을 의미한다.

 

 

 

표 1. 넓은 의미의 식물공장생산시스템의 분류

 

 

 


구분

식물공장(협의)

클론증식시스템

세포대량배양시스템

대상

식물전체

조직

세포

방법

주로 수경재배

조직배양

세포배양

지상부 제어요인

광, 온도, 습도,

탄산가스, 기류속도

광, 온도, 습도, 탄산가스

온도, 영양분, pH

산소량, 교반속도

지하부 환경제어

무기영양, EC, pH, 수분관리, 용존산소량

영양분(당분, 미네랄,

비타민, 호르몬)

 


 

 

 

이러한 식물공장의 시작은 덴마크의 크리스텐센(Christensen) 농장에서 크레스(cress)의 균일한 어린모를 대량생산하기 시작한 195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즉, 파종실, 발아실, 육성실 및 출하실을 갖추고 무농약, 무공해로 싹채소를 생산한 것이 시작이다. 입체식 자동 식물공장은 1960년대 초 오스트리아의 루스나(Ruther)사에서 입체상하이동식으로 상추와 토마토를 재배하였다. 그 이후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실용적인 식물공장은 유럽을 중심으로 상추류, 허브류, 분화류, 절화류(튜립, 백합, 장미)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