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천연물신약: 뭔 약인가?
- 등록일2010-12-29
- 조회수15316
- 분류제품 > 바이오의약
-
저자/소속
장일무/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석좌교수
-
발간일
2010-12-29
-
키워드
#천연물 #신약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1년 20호 [천연물신약]
천연물신약: 뭔 약인가?
장일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석좌교수
1. 천연물신약 탄생 배경
1) “신동의약 개발사업” G7 과제로 선정되다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는 1992년부터 당시 과학기술처에서 시행한 국책연구사업인 G7 프로젝트(Han Project) 중 하나의 과제로 “신동의약 개발사업”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 되었다. 이 과제가 여러 G7 프로젝트가 선정이 거의 끝날 무렵 뒤 늦게 선정이 된 이유는 당시 과기처 김진현 장관이 한·중 과학기술 협력 구축을 위한 중국 방문 시에 여러 도시를 방문하면서 느낀 바가 여러 과학기술 부문 중에서도 동아시아 전통의약인 한약 분야에서는 한국이 중국보다 앞서 나가야겠다는 뜻을 가지고 귀국한 즉시 한약 분야를 G7 프로젝트에 포함 시키라는 지시를 했다는 애기를 과기처 관계관에게 들은 바 있다.
약 20년 전 당시에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한약의 가치를 모를 때이고 중국도 아직 신약개발 기술이 초보인 단계이기에 한국의 관련 과학기술자들이 선도적으로 한약을 소재로 신약 개발을 추진하면 승산이 있고 한국 나름대로 특성을 갖는 신약 개발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정책적 initiative를 확보한다는 의도로 판단된다.
천연물과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대형 국책과제를 수행하는 내용에는 기반기술, 천연물성분화학, 효능 검색 및 어느 정도 연구가 추진된 과제를 제약기업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산학 과제 등이 망라되어 있었다.
참여하는 인원은 천연물과학의 특성을 갖으면서 신약개발에 필수적으로 참여할 약학, 의학, IT 분야 및 제약기업의 연구자 등이 광범위하게 참여하여 1997년까지 5년간 약 70 억 정도의 연구비 지원을 받았다. 기반기술연구로는 각종 한의약 고전의약서의 효능 부분 및 약재, 성분화학 등이 망라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졌는데 그 창출품이 현재에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TradiMed Database(www.tradimed.com)이며 국문, 영문, 일문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 정보 활용 정보로 창출된 것이 국내 천연물신약의 하나인 “조인스”라고 해당 기업의 연구자로부터 들은바 있음은 “신동의약 개발사업”의 하나의 성공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천연물의약품 개발 및 허가 전략
-
다음글
- 나노바이오 세라믹 소재의 연구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