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물의약의 현황
- 등록일2011-01-24
- 조회수18103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저자/소속
오세량/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면역제어연구센터
- 원문링크
-
발간일
2011-01-24
-
키워드
#식물자원#천연물의약#신약개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1년 20호 [천연물신약]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물의약의 현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면역제어연구센터 오세량
천연물이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식물, 미생물과 이들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매우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서, 예로부터 식량자원으로 뿐만 아니라 경험적으로 질병의 예방/치료에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약용자원으로 역할을 해 왔다. 특히 식물자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의약용 소재로서 사용한 역사가 오래되어 풍부한 임상적 경험을 가지고 있고, 지역과 민족에 따라 다양한 식물자원을 1차적인 의약품으로 여전히 사용하고 있어 그 자체로서 의약품일 뿐만 아니라 식물자원의 활성물질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있어서도 중요한 원천소재 역할을 하고 있다. 의약개발에서 식물자원 유래 저분자 천연물을 이용한 (반)합성 의약품개발 분야도 식물자원의 중요성을 논의하기에 충분하나 본 지면에서는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물의약을 중심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1. 천연물의약의 분류와 범위
천연물의약품은 역사/문화적 배경과 법규에 따라 다양한 명칭[예: 생약(crude drug), 생약제제(herbal medicinal preparation), 식물의약품(natural drug/botanical drug), 식물제제(HMP, herbal medicinal product)]으로 표현되는데 대부분 식물에서 생약자원이 유래되었기 때문에 천연물의약은 곧 식물자원을 이용한 의약품을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법’(2000.01.12)과 약사법에 따라 생약(crude drug), 생약제제(herbal medicinal preparation), 한약(oriental medicine), 한약제제(oriental therapeutic preparation) 및 천연물신약(natural drug/botanical drug)으로 구분하고 있고, 천연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또한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공정서에 등재된 생약재로서는 대한약전 131품목과 약전외생약규격집 389품목 등 520품목이 등재되어 있으며 그 중 식물성 약재가 418 품목으로 80% 이상의 생약재가 식물자원에서 유래하고 있다. 한편, 천연물자원으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생약/한약 제제를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물신약이 전문의약품이 되면 한방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 천연물의약을 개발 과정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나노바이오 하이브리드 바코드 시스템
-
다음글
- 천연물의약품 개발 및 허가 전략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