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바이오테크노폴리스, 대덕
- 등록일2011-04-29
- 조회수11463
- 분류종합 > 종합, 제품 > 바이오의약,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저자/소속
배병준/(재)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 과장
-
발간일
2011-04-29
-
키워드
#바이오클러스터#바이오테크노폴리스
Bioin 이슈&특집 2011년 Vol.13 [바이오클러스터(상)_2011년]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바이오테크노폴리스, 대덕
배병준/ (재)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 과장
바이오산업은 무형가치의 투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표적 지식산업으로 21세기 무한경쟁시대에 세계경제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우리의 핵심 키워드인 동시에 IT혁명을 이어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책임질 차세대 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인류의 난제인 건강, 식량, 환경문제 등을 해결할 중요한 분야로서 관심과 기대를 모으는 동시에,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핵심역량을 총 동원해 관련 기술과 시장의 선점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IT, NT, ET 등과의 기술융합이 심화됨에 따라 바이오산업의 영역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등 산업구조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파급시키는“산업횡단적인 기반기술”로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에서도 바이오산업의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 구축된 바이오클러스터들이 그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대전지역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타지역과는 차별화되는 국내 최고 수준의 R&D 역량을 바탕으로 바이오산업의 성장가능성, 민관부문의 투자 역량 및 지자체의 육성의지 등을 효율적으로 결합시켜 21C 국가 바이오산업을 견인하고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1. 개요 및 소개
대전광역시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그간 축적한 국내 최고 수준의 R&D 역량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바이오 관련 5개의 정부출연연구소와 16개 민간연구소, 1개의 국공립연구소, 6개의 관련 대학을 비롯하여 140여개의 중소·벤처기업이 집적해 있고, 3개의 BT 전용 BI 및 안전성평가연구소 등 다수의 R&D 지원센터, (재)대전테크노파크, 대전시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의 기업지원기관, Test Bed로서의 6개 종합병원 뿐만 아니라 중기청, 특허청 등 관련 정부부처가 밀집해 있는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의 바이오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 대전바이오산업 육성 경과
대전광역시의 바이오산업 육성은 2000년 대전시 생물산업육성협의회 발족 및 대전시 바이오메카 구축방안 연구를 시발로 2001년 지역산업진흥계획 타당성 연구, 바이오벤처타운 건립계획 수립을 통해 구체화하게 되었으며, 2004년 지역혁신발전 5개년 계획에 따라 바이오산업을 지역 전략산업으로 선정하면서 본격적인 바이오산업 육성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후 2005년 대전바이오벤처타운을 개관하면서 가시적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바이오테크노폴리스-대덕”선포를 통해 지역의 바이오산업 육성 의지를 천명한바 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대전지역의 바이오산업은 질적·양적으로 급속한 발전을 유지해 오고 있으며, 세계적인 바이오클러스터로서 성공 가능성을 높여나가고 있다.
□ 대전의 바이오산업기반
○ 바이오 산업 관련 연구기관의 전국 최대 집적지(총 23개)
- 정부출연연구원 6개 (바이오 분야 연구원 2,291명)
- 정부투자연구원 1개 (183명)
- 민간연구소 16개 (2,519명)
- 총 연구원 : 4,993명 (단지 내 총 연구원 대비 40% 차지)
○ 우수 교육기관 인접
- 대전에는 KAIST, 충남대학교 등 4년제 대학 총 11개교와 2년제 대학 2개교 그리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를 합하여 14개교의 고등교육기관이 소재하고 있으며 총 재학생은 13만 여명
- Research가 가능한 4년제 대학의 교원수는 2,681명이며 이중 51%인 1,367명이 이공계 소속이고, 교원의 35%와 학생의 20%가 바이오 관련 전공임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
- 제도동향 [KISTEP InI Vol.46 / Autumn 2023] 창의와 도전,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정부R&D 제도혁신 방안의 주요 내용 및 의의 2023-10-25
-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2] 국내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현황 및 해외진출 유형 개발 2023-02-01
-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69]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및 시사점 2022-11-17
- 제도동향 특허박스제도 도입,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에 도움될까? 2021-11-02
- 정책동향 바이오클러스터 정책 진단과 지역주도 혁신성장 방향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