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작지만 강한 제주 건강뷰티 바이오클러스터
- 등록일2011-06-23
- 조회수14497
- 분류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저자/소속
김창숙/제주테크노파크
-
발간일
2011-06-27
-
키워드
#바이오클러스터#제주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1년 Vol.14 [바이오클러스터(하)_2011년]
작지만 강한 제주 건강뷰티 바이오클러스터
김창숙 제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1. 머리말
제주특별자치도는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유네스코(UNESCO) 자연유산 3관왕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의 타이틀을 획득하면서 그 가치가 급상승하고 있다. 이에 제주의 가치를 극대화시켜 국제자유도시 제주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여려 분야에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따른 지식기반산업의 태동은 제주지역 산업구조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첨단산업의 불모지인 제주에서도 산업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기반의 신규 BT, IT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제주지역은 생물의 북방과 남방 한계의 교차점으로 한라산과 중산간 습지 및 해안지대에 8,000여종의 생물종다양성 자원을 가진 생물유전자원의 보고로서 종다양성자원을 활용한 산업개발 잠재력이 높게 평가되어 1단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은 바이오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데 집중하여 왔다.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은 제주의 특화산업으로 건강뷰티 바이오산업을 탄생시켰으며, MADE IN JEJU 바이오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청정 1차 생산물과 다양한 생물자원들로부터 고부가가치의 바이오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되면서 국제자유도시의 첨단산업의 꿈을 바이오산업에서 찾고 있다. FTA시대의 제주 경쟁력을 바이오산업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제주의 성장 엔진으로 자리잡아가는 건강뷰티 바이오산업의 모습을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
- 제도동향 [KISTEP InI Vol.46 / Autumn 2023] 창의와 도전,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정부R&D 제도혁신 방안의 주요 내용 및 의의 2023-10-25
-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2] 국내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현황 및 해외진출 유형 개발 2023-02-01
-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69]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및 시사점 2022-11-17
- 제도동향 나고야의정서 국내외 동향 ABS BRIEF [제 114호] 제주산 화장품 원료 소재 4건 국제화장품원료집 등재 등~ 2021-11-15
- 제도동향 특허박스제도 도입,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에 도움될까?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