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정부부처 연구개발 사업단 소개]
- 등록일2012-04-25
- 조회수12022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저자/소속
오태광/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발간일
2012-04-25
-
키워드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사업단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1년 Vol.18 [정부부처 연구개발 사업단 소개]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오태광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단장
1. 사업개요
가. 사업내용
○ 사 업 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 ○ 사업기간 : 2002년 7월 1일 ~ 2012년 3월 31일 (9년 9개월) ○ 총사업비 : 1,104억원 (정부 : 927억원, 민간 : 177억원) ○ 주관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
나. 배경 및 필요성
○ 본 사업은 국내외 다양한 미생물 유전체 자원의 분석을 통하여 미생물 유전체 기능 정보를 분석 및 활용하여 전통 미생물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신산업군을 창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미생물은 적은 투자비용으로 많은 유전자, 단백질 정보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생명공학 산업의 핵심소재 중의 하나인 고부가가치 자원임. 또한 산업적으로는 세계 바이오시장의 30%, 국내 바이오산업의 60%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산업과 연관이 큼
○ 또한 현재의 기술 경제는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고유기술(new to the world), 세계 1위의 응용기술, 5~10배의 성능향상 및 30~50%의 비용절감 기술을 요구하는 근원적인 혁신(radical innovation)의 시대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가장 잘 충족할 수 있는 분야가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이라 할 수 있음
○ 이는 1970년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확립으로 최근의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이용한 신규 개념의 물질 창출, 효율적인 생산, 무공해의 환경 친화적인 저비용 공정 개발에 대한 시대적인 요청과 맥을 같이함. 실제 미생물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은 사업단 출범 시(2002년) 200여 균주가 해독되었던 것에 비하여 2012년 4월 5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3,173균주에 대한 유전체 해독이 완료되었고 10,479여 균주가 진행될 정도로 폭발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