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정부부처 연구개발 사업단 소개]
- 등록일2012-06-27
- 조회수10864
- 분류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저자/소속
박장서/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
발간일
2012-06-27
-
키워드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정부부처 연구개발 사업단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2년 Vol.19 [정부부처 연구개발 사업단 소개]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박장서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단장
1. 사업개요
가. 사업내용
사 업 명 :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 사업기간 : 2010. 12. 1 ∼ 2018. 10. 31. 총사업비 : 2012년 100억원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나. 배경 및 필요성
□ 연구배경
○ 한·EU FTA에 따른 시장개방 등 산업 환경과 소비 트랜드의 변화에 조기 대처할 수 있도록 화장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필요성이 제기됨
- 섬유와 플라스틱 부분의 수출은 크게 확대가 예상되는 반면 농축산 분야와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피해가 예상되며, 특히 화장품과 의료기기 분야의 경쟁력이 크게 약화될 것으로 예상됨
- 한·EU FTA 체결시 화장품 분야에서 연간 392억원의 추가적인 화장품 수입 증가로 인해 연간 3,200만 달러의 추가적자가 발생하는 등 화장품 분야의 무역수지 악화가 예상됨
- 수입증가로 인해 국내 화장품 분야에서 연간 1,470억원의 실질적 생산감소가 예상됨
○ 개별·센터 과제로 지원시 과제별 목표 달성에는 유리하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연구단계별(기초·응용·제품화 등) 연계가 힘들고, 신소재 기반기술 연구성과의 융·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이 곤란함
○ 품목이 다양하고, 하나의 제품에 다수의 소재와 융복합 기술이 적용되는 화장품의 특성과 급변하고
있는 수출환경에 신속하게 대처 할 수 있는 R&D 지원이 필요함
○ 화장품 R&D 연구성과의 융·복합을 통한 다양한 시너지 창출을 통해 사업의 효율성 및 공익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통합적·전문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함
○ 산·학·연 등의 다양한 연구주체가 공익성을 토대로 긴밀하게 융화될 수 있도록 전문적 관리체계가 필요함
○ 화장품 R&D의 공익성·공정성·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시너지 창출 및 사업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사업단 체제를 통한 연구지원이 필요함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