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2-07-24
- 조회수12140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김홍진/㈜인성정보
-
발간일
2012-07-24
-
키워드
#u-Health#유헬스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2년 29호 [u-Health 연구동향]
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김홍진, ㈜인성정보 u-Health사업부 본부장
1. 서론
u-Health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의료 관련법, 보험제도 등 법제도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나라는 단일 의료보험체제를 바탕으로 비교적 강력한 관리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시스템이 제도화되어 있어,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어, u-Health 서비스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국내 법제도상 제약요인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u-Health 서비스가 활성화되려면, 관련 제반 산업이 적절히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u-Health 산업에 대해서는 여러 형태의 보고서가 발표된 바 있으나, 대부분 특정영역의 관점에서 작성된 관계로, 산업전반의 구조를 조망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 왔다. 일단, 널리 인용되고 있는 u-Health 산업 분류로는“서비스의 특성과 대상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로 u-Health를 크게 헬스케어형과 웰니스형으로 분류하고 다시 헬스케어형을 IT기술의 이용자를 기준으로 u-Hospital군, 홈&모바일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1). 그러나 본 분류방식은 산업의 전체 구조를 다루지는 않고, 서비스 공급자를 중심의 분류여서 산업의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