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식이제한과 식이제한 유사체 연구 동향
- 등록일2012-11-28
- 조회수10134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저자/소속
이신해 박사, 민경진 교수*/인하대 기초의과학부
-
발간일
2012-11-28
-
키워드
#노화연구#식이제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2년 31호 [노화연구동향]
식이제한과 식이제한 유사체 연구 동향
이신해 박사, 민경진 교수*
인하대 기초의과학부
* Correspondence: minkj@inha.ac.kr, TEL: 032-860-8193
* 키워드 : 항노화, 식이제한, 식이제한 유사체, 장수
1. 서론
오래 살고 싶은 것은 누구나 꿈꾸는 일이다. 의학의 눈부신 발전에 의해 많은 생명을 앗아 갔던 질병들이 정복되고, 과거에 비해 평균수명이 증가하였으나, 인간의 평균 수명은 2010년 한국을 기준으로 약 80세에 머물러 있다. 2000년에 실시된 인구 조사에 의하면 전국의 백세인(centenarians)은 모두 2,221명으로 인구 10만명 당 4.7명 꼴이다. 한국인 중 최장수 노인은 2004년 조사에서 109세였던 최애기, 엄옥군 할머니였는데 각각 그해와 그 다음해에 돌아가셔서 110세가 최고 기록으로 남아 있다. 세계적으로는 최장수 노인으로 공인된 프랑스의 쟝 칼망 (1875-1997) 여사가 122세 164일을 산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90년대 초반 UCSF의 Synthia kanyon 박사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통해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6배 이상 늘리는데 성공하여 수명이 고정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 가능한 것이라는 생각을 가능하게 했다. 그 이후, 20년 동안 모델 동물계를 이용한 분자유전학의 발달로 노화 연구에 있어서 많은 진전이 있었고, 노화의 기전을 분자적 수준에서 알아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노화 및 수명을 조절하는 공인 된 방안은 식이제한이 유일하다. 본 기고에서는 식이제한에 의한 노화와 수명 조절 연구 현황 및 그 기전에 대해 살펴보고, 식이제한 유사체와 항노화제 개발 현황을 통해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이 기울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