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박테리아기반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 등록일2013-01-28
- 조회수10485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
저자/소속
박성준/전남대학교 로봇연구소
-
발간일
2013-01-28
-
키워드
#마이크로로봇#나노바이오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3년 32호 [나노바이오 연구동향]
박테리아기반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박성준 전남대학교 로봇연구소 팀장
박석호, 박종오 전남대학교 로봇연구소 연구원
1. 서론
의학 및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늘어났으나, 암을 비롯한 다양한 난치성 질병들은 아직까지 정복되지 않고 있으며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인 암으로 인해 사망한 사망자는 1997년에 600만 명에 이르렀고, 이는 세계 사망률의 12%에 달하는 수치로써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매년 5%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의 수명 연장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극복해야할 과제인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지난 30여 년간 여러 분야 전문가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정확한 진단 및 치료에 관한 확실한 해결책이 없는 상태이다.
현재까지 시행되어온 기존의 임상치료법들은 약물의 전신적 투여로 인한 낮은 치료효율과 더불어 약물에 의한 비특이적 독성, 약물 과투여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능동적으로 고효율의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system(DDS))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운동성의 부제, 정확한 목표 인지의 어려움, 수동적 약물전달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 생분해성/생적합성 물질을 이용한 약물전달체 제작의 어려움 등과 같은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있는 실정이다 [1].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미국, 일본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선진국들에서는 기존의 각각의 분야별로 시행되어온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시도들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체계적인 국가적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계획적인 집중적 투자를 통해 국가적으로 의료용 마이크로/나노 로봇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의료 분야에서 AI와 마이크로로봇의 융합: 최근 개발 동향 2025-03-27
- 제도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5월호] 중국과학원(CAS), '중국 나노과학 2035 발전 전략' 발간 2024-06-24
- 기술동향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테라그노시스 기술 2022-11-17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 리포트(R&D 나노바이오: '한번 맞으면 모든 독감 예방'_새 mRNA 백신 효과 입증) 2022-12-12
- 기술동향 의료용 생체 마이크로로봇 기술발전 동향, 미세수술 로봇 기술과 전망 201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