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건강수명 시대의 도래 : 헬스케어 3.0 현황
- 등록일2013-03-20
- 조회수10671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정명애/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기술연구부
-
발간일
2013-03-20
-
키워드
#헬스케어#국민행복기술#유헬스케어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3 : BT와 국민행복기술을 중심으로
건강수명 시대의 도래 : 헬스케어 3.0 현황
정명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기술연구부 부장/책임연구원
헬스케어의 일반화
영화‘아일랜드’에서 보면 소변, 동공 등을 통해 컴퓨터가 자동으로 주인공 스칼렛 요한슨의 몸 상태를 측정해서 중앙센터에 보내고, 몸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여 건강 식단이나 생활습관을 안내해 주는 장면을 볼 수 있다. 환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측정기기로 혈당, 혈압, 체성분, 스트레스 등을 체크하면 수치가 자동으로 컴퓨터에 입력이 되고, 이 수치가 의사나 헬스매니저에게 발송되어, 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상 채팅으로 건강 상담을 하는 등의 서비스가 부상하고 있으며,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휴대폰,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진단 받은 뒤, 전문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는 서비스 등은 이미 일반화되었다.
기술 측면에서 헬스케어는 홈헬스케어 혹은 유-헬스케어(u-health, Ubiquitous Health Care)로도 표현되며, 집에서 네트워크와 연결된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하면, 측정결과가 전문의료진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전문의료진에 의해 지속적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가정 내에서 1차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한 차세대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헬스케어는 원격의료 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한없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하며, 언제 어디서나 이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생체계측기술이 필요하다.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헬스케어는 만성질환을 앓는 고령인구가 많고 원격의료 기술이 발달한 선진국이 연구 개발을 주도하여 왔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