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NGS를 이용한 미생물 유전체 해독 연구 동향 : 완성 수준의 해독을 향하여
- 등록일2013-05-30
- 조회수1377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정해영/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
발간일
2013-05-30
-
키워드
#미생물 유전체 #유전체 해독 #유전체연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3년 34호 : [유전체연구동향]
NGS를 이용한 미생물 유전체 해독 연구 동향 : 완성 수준의 해독을 향하여
정해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책임연구원
1. 서론
차세대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기술(Next-Generation Sequencing, NGS)은 기존의 Sanger 방식에 의한 유전체 정보 분석을 대체하는 수준을 넘어서 exome 분석, 전사체 분석과 epigenetics 연구 등 종래의 염기서열 해독 기법으로는 다루기 어려웠던 영역으로 그 응용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이에 맞추어 새로운 체계의 대용량 데이터에 적합한 자료의 처리와 고도 분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NGS에 의해 미생물 유전체 분야의 연구 파라다임도 크게 바뀌어 가고 있는데(MacLean 등, 2009), 종래의 방법으로는 기대하기 어려운 속도로 대량 생산된 신규 유전체를 정보가 증가하면서 연구의 폭을 크게 확대한 바람직한 측면이 있는 반면 충분히 검증되거나 재가공되지 않은 유전체 정보의 양산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NGS 시대를 맞는 미생물 유전체 해독 연구 분야의 현황을 알아보고, 특히 3세대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기법의 등장 이후로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유전체 정보 완성(ing) 기술의 현황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미래자원의 보고 해양생물 유전체
-
다음글
- 차세대 의공학 연구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