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미래자원의 보고 해양생물 유전체
- 등록일2013-05-30
- 조회수11303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윤환수/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발간일
2013-05-30
-
키워드
#유전체연구#해양생물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스페셜 WebZine 2013년 34호 : [유전체연구동향]
미래자원의 보고 해양생물 유전체
윤환수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1. 서론
가. 해양생물다양성 및 중요성
태아가 어머니의 양수에서 자라 아기로 태어나듯, 생명의 탄생과 진화는 해양에서부터 시작하였다. 해양생물은 육상생물보다 10억년 이상 먼저 출현하였으며, 그만큼 오랜 진화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약 150만 종의 지구생물 중 90% 이상이 해양 등의 수환경에서 발견되며(WoRMS,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http://www.marinespecies.org/index.php), 특히 앞으로 발견될 해양생물의 종은 약 230만 종으로 추정된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미기록 해양생물은 자원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몇몇 과학자들은 “얼마나 많은 생물이 바다에 있으며, 또 바다 어느 곳이 해양생물의 기원 및 진화의 중심인가?”라고 자문하기 시작했다. 지난 2000년 전세계 과학자들은 해양생물의 다양성 및 분포를 평가하고 이해하기 위해 ‘해양생물센서스’를 창립하였다. 국제공동연구인 ‘해양생물센서스’는 현재 80개국 2,700 여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하였으며, 10년간(2000 ~ 2010년) 알려진 해양생물을 수집하여 체계화하였으며, 540개 이상의 탐험대를 출범하는 등 해양생물연구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해양생물센서스’는 약 6,000종의 신종 해양생물을 발견하였다(해양생물센서스보고서, 그림 1).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