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5 : BT와 ICT 융복합을 통한 일자리 창출

  • 등록일2013-09-04
  • 조회수11138
  • 분류기타 > 기타,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장수익/충북대학교 생화학과
  • 발간일
    2013-09-04
  • 키워드
    #BT와 일자리 창출#일자리 창출
  • 첨부파일

위기와 기회 그리고 바이오기술 (BT)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화 사회이며, 2018년에는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고령화 사회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총 인구의 7%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고령사회는 14% 이상, 초고령 사회는 2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2013년 4월 중국에서 신종 AI 발생 등으로 인해 또 우리에게는 식량, 에너지, 신종 바이러스, 신종 슈퍼박테리아 등을 해결하여야 하는 새로운 난제가 등장하고 있다. 특히, 2030년이 되면 바이오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는 바이오경제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노령화 사회, 식량 등 난제, 그리고 바이오경제시대의 도래는 우리들에게 새로운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가져다준다. 바이오기술(BT)은 우리가 봉착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의 신성장동력으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국가 BT 육성정책과 성과


우리나라는 일찍이 바이오기술(BT)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83년 생명공학 육성법제정, 1993년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1994-2006년) 수립, 2006년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07-2016년) 수립을 통해 지난 30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BT를 육성, 지원하여 왔다. 2012년 현재 국가는 약 1조 6천억 원을 BT에 투자하였다. 정부가 그동안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여 얻은 BT의 성과를 살펴보면, 우선 과학기술논문 창출에서 1994년 29위, 2010년 11위, 특허기술 경쟁력은 1997년 21위, 2011년 15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신약개발 및 임상치료 기술개발에 필요한 우리나라 전체 글로벌 임상시험 등록건수가 2006년 22위, 2011년 12위로 큰 성장을 하였다. 특히, 도시로 보면 서울의 임상시험 수준이 2005년 77위에서 2011년 2위, 2013년 세계 1위로 급부상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이오산업과 R&D에 필요한 바이오기술 분야 인력양성도 지속 적으로 추진하여, 바이오기술 분야 배출 인력(전문대학 이상 생명공학 관련 학과 졸업자 기준)은 2007년 44,351명, 2010년 47,497명, 2012년 총 52,811명이다(그림 1). 특히, 전체 학과 졸업자 중 생명공학분야 졸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7.01%에서 2012년 8.33%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