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기초연구와 일자리 창출

  • 등록일2013-09-04
  • 조회수10040
  • 분류기타 > 기타
  • 저자/소속
    전승준/고려대 이과대학 화학과
  • 발간일
    2013-09-04
  • 키워드
    #BT와 일자리 창출#일자리 창출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5 : BT와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기초연구와 일자리 창출

 

 

전승준 고려대 이과대학 화학과 교수

 


기초연구와 창조경제


올해 초 박근혜 정부의 출범과 함께 연구개발과 관련된 중심 국정과제로서 창조경제를 내세웠다. 창조경제라는 단어는 그 이전에 흔히 사용하던 말이 아니어서 의미와 내용에 대한 혼란이 있었고 아직도 모호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 지난 몇 개월간의 여러 논의에 의하여 창조경제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감을 잡을 수 있는 것 같다. 과학기술과 ICT가 주도적으로 관련하여 창조적인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은 전 세계에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로 밑바닥에서 상당 수준까지 빠르게 이르렀다고 한다. 그러나 그 동안의 발전은 창조적인 연구개발에 의한 것이라고 보다는 잘 알려진 아이템을 모방하는 개발연구에 의하여 빠르게 따라 잡기 전략의 성공이었다. 그런 면에서 정부 지원 연구비조차도 개발연구에 대부분 투입하였다. 20세기이후 구미 선진국에서 이루어진 바와 같은 기초연구에 기반하여 산업화에 이르는 과정은 우리에게 생소하다. 따라서 선진국에서 진행한 것과 유사한 경로를 가고자 하는 것이 창조경제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단 기간에 이룬 경우를 찾기 쉽지 않을 것 같다. 최근 예를 들고 있는 이스라엘조차도 단기간에 광범위한 성공을 이루었는가는 의문이 있다. 결국, 새로운 산업에 기반을 만드는 기초연구에 충실하고 그러한 결과가 산업에 연결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