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글로벌헬스케어와 IT-헬스산업의 일자리 창출방안
- 등록일2013-09-04
- 조회수11047
- 분류기타 > 기타,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정기택/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
발간일
2013-09-04
-
키워드
#BT와 일자리창출#글로벌헬스케어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5 : BT와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글로벌헬스케어와 IT-헬스산업의 일자리 창출방안
정기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교수
고용 없는 성장의 대안, 헬스케어산업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이란 국가 경제는 성장해도 고용은 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주요 지표 2011』에 따르면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일정 기간 GDP 성장률의 단위당 증감(%) 대비 고용 변화율 증감을 나타내는 ‘GDP 대비 고용탄력도’가 한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3개 국가는 모두 1990년대보다 2000년대 후반 들어 탄력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고용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하다는 것이다. 이런 결과가 보여주듯 일자리 창출 방안 마련은 한국의 시급한 과제이다.
우리나라의 고용 없는 성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산업이 헬스케어라는 주장은 여러 번 제기된 바 있다. 특히, 의료서비스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전문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노동집약적인 성격이 강하며 높은 부가가치와 더불어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는 산업이다. 실제로 2009년 기준, 의료서비스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당 15.8명으로 전산업 취업유발계수 14.2명보다 높고 부가가치유발계수 또한 수치상으로도 0.830으로 전산업의 계수 0.687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7~2011년 사이 신규로 창출된 전체 일자리 81만개 중, 17%인 약 14만개의 일자리가 보건의료 분야에서 창출될 정도로 그 효과는 크다.
그러나 단순히 창출되는 일자리의 수가 많기 때문에 헬스케어산업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메가트랜드와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미래에는 더 많은 새로운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기 때문에 헬스케어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