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우리나라 보건의료 R&D 발전 전략과 일자리 창출

  • 등록일2013-09-04
  • 조회수9481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기타 > 기타
  • 저자/소속
    박노현/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 발간일
    2013-09-04
  • 키워드
    #BT와 일자리창출#일자리 창출
  • 첨부파일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5 : BT와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보건의료 R&D 발전 전략과 일자리 창출

 

 


박노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최근 보건복지부 뿐 아니라 각 부처 별로 바이오-의생명 관련 연구와 건강 R&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각종 관련 포럼의 주제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사람이 살아 가는데 의식주 문제가 해결된 이후에는 삶의 질 향상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에서 HT(Health Technology)는 수요가 폭증할 것이라는 것이 공통적인 예상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이와 관련된 중장기 투자 전략 수립과 정부 지배 결정 구조의 고도화에 힘쓰고 있으며 연구 cluster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명 과학에 투자가 시작된 것은 1980년 전후이며 실제 HT관련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90년 들어서인데 비록 매년 10%이상의 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절대 액수와 국가 R&D 예산 대비 비율이 낮으며, 정부 부처 별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중복성 문제와 효율성 저하가 발생하고 있다. 국가 연구단지의 경우 첨단의료복합단지 등의 관할도 분산되어 있고 계획도 축소되었으며 다른 연구 단지나 유수 대학, 기업들과의 연계성도 부족하다. HT는 융합 과학적 특성이 매우 높으며 투자 기간이 길기 때문에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좀 더 치밀한 사전 기획과 꾸준한 투자가 필요한 분야인데,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을 알아보고 외국의 사례를 들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