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Bioin WebZine 2013년 36호 : 생명연구자원 활용의 시대
- 등록일2013-09-25
- 조회수12885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저자/소속
박종훈 교수/숙명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
발간일
2013-09-25
-
키워드
#생명연구자원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생명연구자원은“생명공학 연구의 기반이 되는 자원으로서 산업적으로 유용한 동물, 식물, 미생물, 인체유래 연구자원 등 생물체의 실체와 정보”를 의미한다. 생명연구자원은 신약, 식량, 에너지, 환경산업 등 무궁한 가능성을 지닌 생명공학 핵심 소재로서 유전체, 재생의학, 시스템생물학, 합성 생물학 등 BT 기술의 발달로 바이오분야를 산업화하는 데 핵심역할을 하며 자원의 활용측면에서 잠재적 부가가치가 매우 높고 지구상의 5% 이하만이 발굴되어 향후에 새로운 자원 발굴 가능성이 높으므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확보와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명연구자원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며 국가 차원의 생명연구자원에 대한 효율적 수집·분석·인프라 및 기본적인 운영체제 관리 구축을 위해“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2009.05)을 제정하였다.
생명연구자원의 구체적인 범위는 “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2009.05)과 생명연구자원 정보연계안(2012.05) 대분류에 따르면 미생물, 식물, 동물 그리고 인체유래로 구분하고 있다. 생명연구자원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에 따르면 생명자원이란 생명공학 연구 및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생물체 및 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체로 바이오경제를 지탱하는 무궁한 가치를 지닌 미래자원으로, 생물다양성, 생물자원 및 생명정보로 구분하고 있다. 생물다양성이란, 생물다양성협약(1993)에서 정의하고 있듯이 생태계 내의 생물종 및 생물체 다양성을 의미하며 종내·종간 생물서식지와 생태계 다양성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생물자원이란, 사람을 위하여 가치가 있거나 실체적 또는 잠재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생물체를 말하며, OECD 에서는 배양가능한 생물체(미생물, 식물, 동물, 인간유래물질 등), 생물다양성 부분 중 복제 가능한 부분, 배양 불가능한 생물체 및 이와 관련된 분자, 생리 및 구조적 정보를 말한다. 생명정보란, 생물자원과 생물다양성으로부터 유래된 정보를 의미하며 생명연구자원의 실물현황 정보 및 실물로부터 유래된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 및 대사체 등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