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생명연구자원 연구개발동향
- 등록일2013-09-25
- 조회수13703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저자/소속
정동수 선임연구원/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발간일
2013-09-25
-
키워드
#생명연구자원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개요
세계 각국들은 21세기 초에 미국의 금융파생상품인 모기지론 문제로 불어 닥친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이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상을 본격적으로 찾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는 2009년에 바이오경제 2030(The Bioeconomy to 2030: Designing a Policy Agenda)이라는 미래 전망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보고서의 핵심은 바이오 경제를 “바이오 기술이 경제적 산출량의 상당부분에 기여하는 경제”로 정의하고 융합을 통해 정보통신(Information Technology) 혁명을 넘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세계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바이오경제 시대를 구현할 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그림 1. 주요국 바이오경제 추진전략 정책보고서(출처: 한국과학기술평가원 D&D InI 제5호, 2013년 7월)
우리나라 역시 2000년 초부터 법률 및 제도 정비를 통해 추진하여 생명연구자원 효율적인 확보·관리 그리고 활용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5개 부처가 공동으로 생명자원 주권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미래선도 생명자원의 발굴을 통해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기반을 구축하여 풍요로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목표로 “국가 생명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 마스터플랜(‘07.12)”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10년 이내 생명자원 분야 국가경쟁력 선진 7위권 진입'이라는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이후 각 부처별로 소관자원에 대한 법률 제정을 통해 구체적인 활동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원고에서는 우리나라 바이오경제의 근간이 되는 생명연구자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현재 국내외 동향 대해 간략하게 논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생명연구자원! 창조경제의 핵심 기반
-
다음글
- 생물다양성 연구 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