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생물다양성 연구 동향

  • 등록일2013-09-25
  • 조회수13444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저자/소속
    백운기 팀장/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팀
  • 발간일
    2013-09-25
  • 키워드
    #생물다양성 #생명자원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서론

 

생물다양성(Biodiversity, Biological diversity)은 생물종수라는 단순한 종다양성 개념을 넘어 유전자에서 자연경관, 인간의 문화와 복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1989년 세계자연보호기금(WWF : Word Wildlife Fund)의 생물다양성 정의는 '수백만의 식물, 동물, 미생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 그리고 그들의 살아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복잡한 생태계'로 명명하고 있다.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한 환경과 개발에 관한 국제연합회의(지구정상회의)에서는 생물다양성을 '육상·해상 및 그 밖의 수중생태계와 이들 생태계가 부분을 이루는 복합생태계 등 모든 분야의 생물체간의 변이성을 말하며, 이는 종내, 종간의 다양성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이후 생물다양성협약(CBD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을 통해 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생물종(Species)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Ecosystem)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Gene)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어원으로 명문화하였다.


따라서 생물다양성 연구란 지구상의 생물종을 발굴하고, 이들의 서식환경 (사막, 삼림지, 습지대, 산, 호수, 강 및 농경지)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종 내의 유전자와  한 집단 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 연구를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생물다양성의 현황 및 연구 관련 국내·외 동향, 생물다양성 활용 연구,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국제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