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발달장애 조기 진단 및 기술동향
- 등록일2014-06-26
- 조회수15769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저자/소속
김남순/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의과학연구본부 본부장
-
발간일
2014-06-26
-
키워드
#발달장애 #자폐증#자폐스펙트럼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발달장애의 정의
가.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order, DD)란
유아가 태어나서 단계적으로 밟아야 할 일정한 정신적/신체적 기능이 나타나지 못함을 의미하고, 주로는 정신적 발달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본 보고서에서는 광의의 개념에서 접근하도록 한다.
유아 발달단계 중 운동, 교육, 언어, 인지, 정서 및 사회성의 각 단계에서 각각의 다른 증상으로 나타난다. 발달 단계에 따른 장애의 유형으로는 지적장애, 학습장애, 대화 장애 등의 인지능력 이상이 있고, 사회성과 행동 및 운동능력 이상으로 자폐증후군, 행동장애, 운동장애 등이 있다(그림 1).
[그림 1. 아동 발달단계와 발달장애]
이중에서도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이하 자폐증후군)는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이상증상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장애로 구분되고 있다(그림 2.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V, DSM-V 기준). 따라서 대중적으로 발달장애를 자폐증후군으로 통칭하는 경우도 있다.
[그림 2. 자폐증후군의 다양한 증상과 원인들]
Neuropsychopharmacology (2012) 37, 196–212
미국 통계에 의하면 전체 아동의 12~16%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 발달장애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법은 발달장애를 지적장애와 자폐증으로 국한하고 있어 장애인의 7% 정도인 18만 여명이 발달장애로 등록되어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