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바이오 빅데이터 연구동향

  • 등록일2014-12-24
  • 조회수16520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img_141226_10.jpg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바이오 빅데이터 개념

빅데이터 기반 창출의 방법을 활용해 방대한 바이오 정보를 효율성 있게 정리·해석하고 그 생물 및 의학적인 의미를 밝혀 새로운 지식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으로 생명과학과 헬스케어의 융합영역을 말한다.

 

나. 바이오 빅데이터 등장 배경

2,000년에 완성된 인간 게놈프로젝트 이래 현재까지 축적된 엄청난 유전체 정보의 생성량으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분석 결과를 도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아울러 의료서비스 확대와 바이오 산업육성을 통해 관련분야의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진료기록과 의료 영상뿐 아니라 유전자 통계와 전염병 현황을 포함한 방대한 보건 의료 정보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얻어내는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img_141226_2.jpg

 

※ ‘IT와 Bio가 만나는 블루오션’ - KT경제경영연구소, 2013

 

2. 국내외 연구동향

 


가. 국외 연구동향

 


1) 해외 정책동향

 

미국은 “Big Data Initiative('13)”에서 빅데이터 R&D에 2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는데, 특히 미국 국립보건원(NIH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을 중심으로 거대하고 복잡한 생물·화학적 데이터처리기술 고도화를 통해 유전체학(Ge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등 대규모 데이터 분석이 요구되는 바이오/보건의료 최첨단 R&D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NIH는 빅데이터 과학, 공학 핵심 기술 개발 및 게놈 프로젝트 데이터를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에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

 

EU는 “Data Open Strategy(‘11)”를 발표하고 빅데이터 처리기술 R&D에 ′11~′13년에 걸쳐 1억 유로를 지원하였다. 이어서 ′13~′23년 까지 10년 간 뇌 연구를 위한 HBP(Human Brain Project)에 10억 유로를 투자하기로 발표하였다. 범유럽 차원에서 진행되는 HBP는 각국에 분산된 연구능력을 집중하여 뇌공학(Neuroscience), 뇌의학(Medicine), 미래 컴퓨팅(Future Computing) 등 3가지 영역에 목표를 두고 진행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