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코티졸(cortisol) 스트레스마커 분석과 스트레스 모바일 헬스 응용
- 등록일2015-03-25
- 조회수12397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김용준 책임연구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소
-
발간일
2015-03-25
-
키워드
#모바일 진단기기#모바일 헬스케어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개요
가. 배경
산업화로 인한 전문분야의 세분화와 고도화가 날로 심화되는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스트레스는 성과중심주의 사회의 당연한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스트레스는 두뇌를 비롯한 인체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주며, 만성화된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 일컬어 질 정도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실질적으로 스트레스는 당뇨, 암, 심혈관 질환, 면역 약화, 비만, 알츠하이머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일련의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1].
그러나 아직 스트레스를 질병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결여되어 있고, 스트레스를 측정 하는 방법에는 일련의 문진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질병 관점에서의 보다 객관성이 담보된 검진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바이오 및 나노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질병을 손쉽게 검출하려는 연구가 많은 발전을 하였고, 스트레스 검출에도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확보하려는 연구가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욱이 모바일 통신 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모바일기기에 스트레스 검출 시스템을 탑재하려는 연구가 빠른 발전을 하고 있다. 본 연구 기술 동향 소개서에서는 이러한 스트레스관련 주요 바이오 마커인 코티졸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코티졸 바이오마커 분석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전망하였다.
2. 주요 검출법과 모바일 검출
가. 주요 검출법
1) 금 나노입자 색변이
금 나노입자(10 ~ 50nm)에 가시광선이 주사되면 흡수된 빛이 금 나노입자 표면의 전자를 발진시킨다. 금 나노입자의 크기가 13 nm 경우 520 nm 초록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빨강색을 띠게 된다. 나노입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표면 플라즈몬 밴드는 장파장영역을 흡수하며 브로드닝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금 나노입자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마커 검출에 응용 한다(그림 1). 금 나노입자 표면에 항체, 핵산, 아비딘-바이오틴 (avidin-biotin)결합, 혹은 금속 리간드 결합을 이용하면 항체나 핵산 또는 금속 등을 색의 변이현상으로 검출 할 수 있게 된다.
[그림 1. 금나노입자 변색 현상을 이용한 타겟 검출 기작]
유기 염료 분자를 이용한 기존 검출방식은 정량적분석이 어려운 반면,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색변이 검출 법의 경우는 유기 염료 분자보다 1000 배 이상의 높은 흡광계수를 갖는 금 나노입자의 특성에 기인하여(13nm 크기의 금 나노입자의 흡광계수는 520nm 파장에서 2.7x108 M-1cm-1 [2] 색변이가 육안으로 구분이 가능하고 분광계를 이용하면 정량분석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수 ng/mL 수준의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금 나노입자 색변이 센서는 발색 기작이 간단하고 색 발현이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회용 모바일 마이크로 유체제어시스템에 상대적으로 손쉽게 적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적 장점에 기인하여 나노입자 시스템을 lateral-flow-assay(LFA)에 탑재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농도 검출을 위한 시그널 증폭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광주과기원의 김민곤 박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금 나노입자를 LFA에 사용하여 심근경색증 바이오마커중에 하나인 troponin I를 10 분 이내에 0.01 ng/mL 수준까지 감지하여 기존의 금 나노입자 LFA의 100배 수준의 검출 결과를 발표하였다(그림 2) [3].
[그림 2.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신호 증폭]
2)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
화학발광은 화학반응에 의해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으로, 과산화수소(H2O2)가 luminol을 산화시키는 촉매제로 사용되어 3-aminophthalate를 생성시키고, 여기상태의 중간체가 낮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한다. 화학 발광도 모바일기기응용에 유리한 LFA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체 질병 마커 및 암바이오마커 [4] 검출 등에 응용된다.
3) 형광 (fluorescence)
형광 검출법을 paper-based LFA에 응용하면 매우 얇게 그리고 소량의 샘플로 검출이 가능하여 저가의 장점이 있지만 셀룰로우즈 섬유로 인해 빛이 산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형광검출법은 LFA 마이크로풀루이딕에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하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형광리더기의 소형화 및 가격이 주요 해결해야할 문제점이다.
나.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검출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는 병원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검진 프로세스를 병원 밖에서 손쉽게 진행한다는 개념으로, 병원에서 통상 사용되는 진단에 필요한 현미경, ELISA, cytometry 등의 장비가 가용하지 못한 도시에서 떨어진 농촌이나 도서지역에서 현장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도시에서는 질병의 발생에 대한 추적이나 조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모바일 헬스에는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고 자체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기기가 필수 요소이다. 최근 국민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이 컴퓨터와 같은 성능과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고, GPS 통신이 가능하여 모바일 헬스 목적에 매우 적당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공공 보건을 목적으로 한 현장진단 분야에 집중적인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