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의료용 로봇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5-04-27
- 조회수17632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
저자/소속
이병주 교수/한양대학교 전자공학부
-
발간일
2015-04-27
-
키워드
#의료 로봇#의료기기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기술의 개요
가. 의료용 로봇의 정의 및 종류
의료용 로봇은 의료 현장의 다양한 분야에 로봇기술을 융합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기술 분야는 수술로봇, 네비게이션, 수술 시뮬래이터, 재활로봇 등으로 분류된다.
의료 로봇
| 수술
| 수술로봇
| 연조직
| 복강경
| Multi-port |
Single-port | |||||
NOTES* | |||||
뇌·신경 |
| ||||
혈관 |
| ||||
경조직 | 정형외과 | 인공관절 | |||
네비게이션, 수술 시뮬레이터, 첨단수술실 |
|
|
| ||
재활 | 상지, 하지, 외골격재활 |
| |||
기타 | 간호, 안내, 원격진료 |
*NOTES : Natural-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자연개구 내시경 수술)
나. 의료용 로봇의 필요성
최근 첨단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품질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선진국 뿐만 아니라 G20 신흥 시장 중산층에서도 유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IT 융합형 의료 영상장비, 의료로봇 등의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및 원천기술 확보가 시급하다.
의료로봇은 최대시장인 미국을 중심으로 연평균 20% 수준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망은 아래 표와 같다.
< 표 1. 의료로봇 시장 규모(단위: 억불) >
연도 | '04 | '06 | '08 | '10 | '12 | '14 | '16 | ’04-’10 CAGR | ’10-’16 CAGR | |
의료로봇 | 8.6 | 15.3 | 30.2 | 42.6 | 60.0 | 84.5 | 119.1 | 30.6% | 18.6% | |
| 수술로봇 | 5 | 7 | 13 | 21 | 32 | 47 | 72 | 27.0% | 22.7% |
| 재활/기타 | 3.6 | 8.3 | 17.2 | 21.6 | 28 | 37.5 | 47.1 | 34.8% | 13.8% |
* 출처: Espicom, World Medical Factbook 2009, 2009.5 등
다. 의료용 로봇의 핵심기술
본 기사에서는 다양한 의료용 로봇 분야 중에서 수술로봇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수술로봇 기술은 그림 1에서와 같이 Advanced eye와 Advanced hand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Advanced eye는 전혀 보이지 않는 부위의 영상을 MRI 또는 CT를 활용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잘 안 보이는 부위를 잘 보이도록 내시경을 통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특별히 내시경의 발전은 많은 수술과정에 획기적인 변혁을 일으킨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Advanced hand는 직접 수술을 담당하는 수술로봇을 의미한다. 의사가 담당할 수 없는 미세한 작업, 의사의 손이 다다룰 수 없는 부위 등의 수술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대부분의 수술 로봇은 Advanced eye와 Advanced hand를 동시에 활용하는 복합적 기술로써 수술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술 로봇의 종류를 크게 분류하면 그림 2에서와 같이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내시경 정보를 활용한 유도수술 로봇은 내시경의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수술로봇을 마스터 로봇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da vinci가 그 대표적인 사업화 성공 사례이다. 응용범위는 복강, 흉곽 등 공간에 존재하는 부위에 해당된다.
영상 유도 수술로봇은 수술 전에 MRI 또는 CT에서 얻어진 3D 영상을 기반으로 수술계획을 세우고, 이러한 영상정보를 수술시 영상좌표계와 로봇좌표계 그리고 환부좌표계의 정합을 통하여 수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 분야는 아직까지 대표적인 사업화 성공 사례가 발표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림 1. 의료로봇의 핵심기술
2. 국내외 연구동향
가. 국외 연구동향
최근에는 진단기술의 발달로 병변을 일찍이 예측할 수 있으며 내시경 기술의 등장으로 절개를 많이 하지 않는 최소침습수술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진단 기술의 한계 및 의사의 경험에 의한 수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 수술로봇 기술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증폭되고 있다.
수술로봇은 1980년대 중반부터 IBM을 필두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고관절 수술용 ROBODOC이 최초의 성공적인 수술로봇으로 발표되었고 국내 큐렉소는 이 기술을 이전받아 2008년 8월에 미국 FDA에 등록하여 현재 전 세계를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 소수의 병원에서 임상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복강경 수술용 da vinci가 등장하여 전 세계에 1000여대가 팔려나가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매년 수천 건의 현장 적용 사례가 있을 정도로 유용하게 사용하게 됨으로써 수술로봇의 효용가치가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무릎관절 수술용 Mako-surgical 로봇이 최근에 상품화 모델로 발표되었다. 이와 같은 수술로봇을 활용함으로 인하여 현재 수술시 의사의 한계를 뛰어 넘는 정확한 시술과 최소절개가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수술시간과 회복시간을 단축시키는 획기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앞으로 대부분의 의료 기술들은 미세침습수술을 위한 수술방법과 기술들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대표적으로 NOTES(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는 미국 Purdue 대학에서 최초로 시작되었고, 국내에서는 KAIST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 연구는 인간의 자연동공을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삽입함으로 인하여 외피를 절개하지 않는 수술방법으로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수술도구들이 개발 중이다. 다음은 수술로봇 분야에 있어서 국외의 몇 가지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