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국내 감염병 연구 동향 분석1) :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등록일2015-05-26
- 조회수11639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김석관 본부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산업혁신연구본부
-
발간일
2015-05-26
-
키워드
#감염병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분석 개요
----------------------------------------------------
1) 이 글은 김석관 외(2014)와 김석관 외(2015)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해서 작성한 것이다.
① 일반적인 용어와 비법정 감염병명: 감염, 전염, 인수공통, 항생, 항균, 내성, 세균, 진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대장균, 설사, 백신, 폐렴, 독감, 헬리코박터, 자궁경부암, 자궁암, HPV, 인유두종, 그람음성균, 그람양성균, 살처분, 괴사성장염, 유방염, 감시체계, 방역 ② 질환명 키워드(법정 감염병의 한글 명칭과 영문 명칭에서 주요 단어를 추출): 콜레라, 티푸스, 출혈, 간염,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뇌염, 수두, 대상포진, 말라리아, 결핵, 한센, 성홍열, 수막염, 레지오넬라, 비브리오, 패혈증, 발진열, 쯔쯔가무시, 렙토스피라, 브루셀라(부르셀라), 탄저, 공수병, 플루,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매독, 크로이츠펠트, 페스트, 황열, 뎅기열, 두창, 보툴리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사스, 야토병, 큐열, 웨스트나일, 라임병, 유비저, 치쿤구니야, 회충, 편충, 요충, 흡충, 수족구, 임질, 클라미디아, 연성하감, 단순포진, 반코마이신, 포도알균, 포도상구균, VRSA, VISA, VRE, 장알균, 장구균, 메티실린, MRSA, 녹동균, MRPA, 아시네토, MRAB, 카바페넴,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클로스트리듐, 바실루스, 예르시니아, 리스테리아, 아메바, 편모충, 와포자충, 원포자충, 마이코플라스마, 바베스, 수면병, 샤가스, 광동주혈선충, 악구충, 사상충, 포충, 톡소포자충, 메디다, 구제역, 마렉, 오제스키, 뉴캣슬, Avian ③ 질환명 키워드(법정 감염병의 다른 이름이나 관련 단어): 에이즈, HIV, 광우병, 프리온, 해면상, CJD, 광견병 |
[표 1. 감염병 연구과제의 연구분야별 분류 기준]
분야 | 인간 | 동물(추가) |
감시/역학 연구 | 감염병의 발생 감시, 전파요인, 임상적 위험 요인 연구, 전파속도 예측 및 모델링, 전파경로 연구, 다른 병원체와 상호관계 연구, 인구집단 코호트 구축, 분자 역학, 감염병 정보 시스템 등 | 매개동물의 생태 연구, 환경 중 위해물질 검사 등 |
임상/정책 연구 |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치료지침 개발, (항생제 등의) 처방지침 마련, 정부의 대국민 홍보정책 수립, 경제적 영향 평가, 경제성 평가, 기획연구, 유병률/발생률 등 |
|
기초/기전연구 | 감염병의 인체 감염 및 전파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탐구, 변이 및 치료제 내성기전 연구 등 |
|
진단기술 개발 | 감염병의 인체 감염 여부에 대한 진단법 개발, 현장용 신속 진단기기 및 시약 개발, 내성 병원체 진단, 다중 진단 시약 개발, 병원균 검출 연구 등 |
|
치료기술 개발 | 감염병 치료제 개발, 기존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신규 후보물질 발굴, 비임상/임상 개발, 약의 작용기전, 면역증강제 등 항균제가 아닌 신개념 치료제 개발, 내성 극복방안, 기존 치료제의 병합요법, 치료제 대량 생산 등 | 소독제, 방역, 방제, 예방용/항생제 대체 사료, 항바이러스성 형질전환, 무항생제 사육, 살처분 |
백신 개발 | 감염병 예방/치료 백신 개발, 향상된 면역원 개발, 항원 함량 절감기술 개발, 주사제 외 점막 백신 등 새로운 접종 방식 백신 개발, 세포 배양 백신 생산을 위한 세포주 및 고효율 세포 배양기술 개발, 백신의 효능평가 및 표준화 기술 개발 등 |
|
인프라 | 병원체 은행 및 DB 구축, 병원체 시퀀싱 결과 제공 및 균주 분양 등 연구지원 시스템 구축, 고위험 병원체 연구시설(BSL3) 구축, 연구개발 전문 인력 양성, 학회/연구회/심포지움 지원, 국제협력사업, 기준/표준 설정 등 |
|
2. 분석 결과
가. 총괄 분석 결과
분석 결과 2010~2012년의 3년 동안 감염병 분야에서 총 2,688개 과제가 수행되었고, 여기에 3,848억원의 정부 연구비가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공통 감염병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그 비중은 차이가 났는데, 넓게 정의할 경우 인체 감염병 64.2%, 동물 감염병 24.7%, 인수공통 감염병 11.1%로 나타났고, 좁게 정의할 경우는 인체 감염병 69.7%, 동물 감염병 28.9%, 인수공통 감염병 1.4%로 나타났다.
[표 2. 감염병 국가연구개발사업 총괄표(1)]
구분 | 과제 수 | 정부연구비(백만원) | |||||||
2010 | 2011 | 2012 | 합계 | 2010 | 2011 | 2012 | 합계 | 합계비중 | |
인체 감염병 | 502 | 502 | 620 | 1624 | 76,351 | 83,767 | 86,845 | 246,963 | 64.2% |
가축 감염병 | 142 | 199 | 293 | 634 | 23,893 | 34,632 | 36,506 | 95,031 | 24.7% |
인수공통 감염병* | 130 | 132 | 168 | 430 | 14,189 | 13,092 | 15,476 | 42,758 | 11.1% |
합계 | 774 | 833 | 1081 | 2,688 | 114,433 | 131,491 | 138,828 | 384,752 | 100.0% |
주: 인수공통감염병을 넓게 해석한 경우: 복지부가 고시로 지정한 10종의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과제(인체 연구와 동물 연구 모두 포함), 과제명에 ‘인수공통’이라는 말이 포함된 과제, 인간과 동물의 교차 감염을 연구한 과제를 인수공통감염병 과제로 분류
자료: NTIS DB를 STEPI에서 분석.
[표 3. 감염병 국가연구개발사업 총괄표(2)
구분 | 과제 수 | 정부연구비(백만원) | |||||||
2010 | 2011 | 2012 | 합계 | 2010 | 2011 | 2012 | 합계 | 합계비중 | |
인체 감염병 | 577 | 585 | 707 | 1,869 | 82,853 | 91,096 | 94,323 | 268,273 | 69.7% |
가축 감염병 | 184 | 235 | 356 | 775 | 30,239 | 38,598 | 42,320 | 111,157 | 28.9% |
인수공통 감염병 | 13 | 13 | 18 | 44 | 1,341 | 1,797 | 2,184 | 5,322 | 1.4% |
합계 | 774 | 833 | 1,081 | 2,688 | 114,433 | 131,491 | 138,828 | 384,752 | 100.0% |
주: 인수공통감염병을 좁게 해석한 경우: 과제명에 ‘인수공통’이라는 말이 포함된 과제, 인간과 동물의 교차 감염을 연구한 과제를 인수공통감염병 과제로 분류
자료: NTIS DB를 STEPI에서 분석.
나. 부처별 분포
부처별로는 교과부가 3년 합계액 기준 34.8%를 차지해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복지부 21.9%, 농식품부 19.5%, 지경부 11.5%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감염병 연구를 확대하려고 노력 중인 환경부는 0.8%(13개 과제, 30억원)에 머물고 있었다.
[표 4. 감염병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부처별 분포(2010∼2012)]
부처 | 과제수 | 정부연구비(백만원) | |||||||
2010 | 2011 | 2012 | 합계 | 2010 | 2011 | 2012 | 합계 | 합계비중 | |
교육과학기술부 | 389 | 415 | 427 | 1,231 | 38,907 | 49,999 | 45,153 | 134,059 | 34.8% |
국무총리실 | 1 | 1 | 0 | 2 | 78 | 40 | 0 | 118 | 0.0% |
국토해양부 | 3 | 2 | 8 | 13 | 622 | 440 | 1,499 | 2,561 | 0.7% |
기상청 | 0 | 0 | 1 | 1 | 0 | 0 | 200 | 200 | 0.1% |
농림수산식품부 | 115 | 133 | 217 | 465 | 20,639 | 26,245 | 28,096 | 74,980 | 19.5% |
농촌진흥청 | 29 | 31 | 84 | 144 | 5,035 | 5,482 | 5,376 | 15,893 | 4.1% |
보건복지부 | 148 | 143 | 216 | 507 | 26,786 | 26,352 | 31,060 | 84,198 | 21.9% |
식품의약품안전청 | 25 | 36 | 30 | 91 | 4,090 | 4,420 | 3,450 | 11,960 | 3.1% |
중소기업청 | 27 | 35 | 52 | 114 | 3,134 | 4,221 | 6,297 | 13,653 | 3.5% |
지식경제부 | 33 | 35 | 39 | 107 | 14,307 | 13,697 | 16,143 | 44,146 | 11.5% |
환경부 | 4 | 2 | 7 | 13 | 835 | 595 | 1,554 | 2,984 | 0.8% |
합계 | 774 | 833 | 1,081 | 2,688 | 114,433 | 131,491 | 138,828 | 384,752 | 100.0% |
자료: NTIS DB를 STEPI에서 분석.
다. 연구수행 주체별 분포
연구수행 주체별로는 대학이 48%로 가장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국공립연구소 및 정부부처(합해서 20.9%), 중소기업(14.2%), 출연연구소(11.4%)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약처, 질병관리본부 등 국립 기관에서 전체 감염병 연구비의 1/5을 집행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공중보건적 성격이 강한 감염병 분야의 특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질병 조기 진단 연구동향
-
다음글
- 인수공통감염병 연구동향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