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질병 조기 진단 연구동향
- 등록일2015-06-22
- 조회수24778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이민호 책임연구원/전자부품연구원 메디컬 IT융합연구센터
-
발간일
2015-06-22
-
키워드
#질병 조기진단#헬스케어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개요
가. 기술의 정의
1) 질병 조기 진단
질병의 조기 진단이란 광범위하게는 체내에서 질병의 발현이 일어나기 전에 진단해나가는 것으로 일반 대형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건강검진, 주로 영상검사인 내시경 또는 초음파, 방사선 영상을 통하여 조기 진단을 할 수도 있고 체외진단 방법으로 민감도를 극대화한 바이오센서를 통하여 체액 또는 체취(體臭) 중에 존재하는 소량의 바이오마커를 검출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기고에서는 질병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암 질환 및 심장 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용 기술 및 연구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2) 체외 진단 기기
체외진단기기 (In Vitro Diagnosis, IVD) 시장 규모를 보면 세계 시장은 2012년 456.8억 달러에서 2017년 646.5억 달러로 증가세에 있으며 특히 면역진단(immunoassay)과 현장진단 (POC)시장의 성장세는 CAGR 6.7%, 8.6%로 고속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체외진단기기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면역화학적 진단시장이 4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 뒤로 자가혈당진단시장 (18.0%), 현장진단시장 (13.0%), 분자진단시장 (10.9%), 혈액진단시장 (8.1%), 임상미생물학적진단시장 (5.7%), 지혈진단시장 (3.2%)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Analysis of the global IVD market (2013)]
* 출처: Frost&Sullivan
IVD 세부시장 | 시장 규모 [단위: 억 달러] | 비중 (%) |
면역화학적 진단시장 | 187.6 | 41.1 |
자가혈당측정시장 | 82.3 | 18.0 |
POCT 시장 | 59.2 | 13.0 |
분자진단시장 | 50.0 | 10.9 |
혈액진단시장 | 36.9 | 8.1 |
임상미생물학 진단시장 | 26.0 | 5.7 |
지혈진단시장 | 14.8 | 3.2 |
합계 | 456.8 | 100 |
3) 체외 진단 기술 및 진단 칩
향후 신 진단 산업은 NIH의 헬스 비전인 4P(Predictive, Personalized, Preemptive, Participatory)를 따라 패러다임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질병의 조기 진단,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술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체외진단기술 분야의 대표적인 기술로 바이오센서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항원-항체 상호작용 또는 DNA hybrid 형성과 같이 인식 과정이 거의 비가역적으로 진행되며 대표적으로 DNA 칩, 압타머 칩, 단백질 칩, 랩온어 칩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가) DNA 칩
DNA 칩은 대규모 유전자 발현 분석을 위해 신약 개발의 도구로 사용되며 동시에 질병 진단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수백 개에서 수십만 개까지의 유전자를 아주 작은 고체 표면위에 고밀도로 집적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빠른 시간안에 다수의 유전자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정밀도의 향상에 따라 병리진단 또는 환경, 식품 등 폭넓은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나) 압타머 칩
압타머는 그 자체로 안정된 삼차 구조를 가지면서 표적 분자에 대한 높은 친화성과 특이성으로 결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단일가닥 핵산이다. 1990년 대 colorado 대학 연구팀에 의해 SELEX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라는 압타머 발굴 기술이 처음 개발된 이래 저분자 유기물, 펩타이드, 막 단백질 까지 다양한 표적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많은 압타머들이 발굴되고 있다. 압타머는 2 ~ 60 mer 정도 길이의 핵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은 분자 구조이고, 여러 필요한 변형이 용이하여 항체에 비해 안정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 단백질 칩
단백질 칩은 특정 단백질과 반응할 수 있는 수십에서 수백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단백질이나 리간드 등을 고체 표면에 집적시키는 칩과 이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장치로 단백질의 분리, 확인, 정량 및 기능 해석을 칩 상에서 수행할 수 있어 진단용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전망이고 단백질 칩을 이용해 신약 목표 물질의 사전 예측, 정확한 평가, 신약 후보 물질의 고속 스크리닝 등이 가능하다.
라) 랩온어 칩
랩온어 칩은 반도체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시료의 희석, 혼합, 반응, 분리 등 모든 단계를 하나의 칩 위에서 수행하는 바이오 칩으로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수십 마이크로 미터에서 나노미터에 이르는 휴체 흐름 채널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소형 펌프, 밸브, 반응기, 추출기, 분리 시스템 등의 기능과 센서기술을 칩 상에서 접목시킨 것을 의미한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