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기능성화장품 산업동향

  • 등록일2015-08-27
  • 조회수18368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외품・화장품・위생용품 안전관리기술

 

img_150827_10.jpg

 

1. 기능성화장품 개요

 

가. 산업개요

 

최근 화장품 소비자의 제품 선택 요인은 과거 “브랜드 인지도”에서 “목적성·기능성”으로 옮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환경호르몬이나 유전자변형에 따른 화장품 성분에 대한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천연성”을 선호하는 소비자 심리가 반영되어 천연물을 중심으로 한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피부세포의 분화, 노화현상의 규명, 인공세포의 개발 등 피부과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이러한 소비트렌드를 맞추기 위해 여러 기능성 천연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미백, 보습, 자외선 차단 및 흡수, 유해산소 제거, 콜라겐 합성, 피부주름방지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천연물 중심의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동물, 식물, 미생물에서 직접 추출된 비가공 천연물, 단백질, 배양물 등의 소재에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발효나 생명공학기술을 접목하여 1차 가공제품을 만든다. 그 후 소재가 가진 기능을 최대한 표현하기 위해 안정화, 제형화, 전달체계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최종 소재 및 완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표 1. 기능성 천연화장품 단계별 주요제품 및 기술 분류]

 

생산단계

주요제품 및 기술

원재료

‣ 초본식물목본식물미생물동물세포주 유래의 비가공된 추출물단백질배양액

‣ 지방유래 줄기세포 배양물제대혈 줄기세포 배양물골수 줄기세포 배양물재조합 줄기세포 배양물

1차 가공 제품

‣ 피부생리활성 기능 증진을 위해 발효 및 생명공학기술 적용

최종소재 및 완제품

‣ 소재 안정화 기술세포전달 기술제형 기술 적용

 

출처 : 중소기업청

 

생산단계에 이어서 기능별 천연화장품의 원료/소재를 살펴보면, 주름방지 및 세포부활작용에는 아이리스, 알로에, 해조, 토마토, 마로니에, 라벤더 등이 있으며, 자외선 방지 및 미백효과에는 미강유, 계피, 대황, 콩과식품, 감초 등이 있다. 보습효과에는 키틴 유도체, 알로에 추출물, 식물성 다당류, 사포닌류 등이 있으며, 피부 항균성에는 고삼, 황련 등이 있다.

 

한편 최근 기능성 천연화장품의 소비자 니즈는 “복합 기능성 소재 요구도 증가”, “유기농 화장품 수요 증가”,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이너뷰티 등)“ 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복합 기능성 소재 요구도 증가 : 최근 여러 기능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콘셉트의 “올인원(All-in-One)”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즉 보습·미백·안티에이징 등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 멀티 스킨케어 제품, 에센스 성분이 함유되어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주면서 진한 메이크업을 간편히 지워주는 클렌징 제품,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으면서 피부를 진정시켜주고 파우더 성분이 피부톤을 자연스럽게 보정해주는 비비쿠션 및 씨씨쿠션 등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② 유기농 화장품 수요 증가 : 최근 들어 천연소재, 인체에 무해한 소재 등이 소비자의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농 재배를 통해 추출된 천연물을 활용한 유기농 화장품의 수요도 증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기농 소재와 이들 소재에 영향을 주는 신호전달물질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③ 화장품 용도 외의 고기능성 부여(이너뷰티 등) : 화장품(Cosmetics)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인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이라는 단어가 등장할 만큼 단순한 화장품을 뛰어넘는 효능을 소비자들이 바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소재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 건강과 피부 건강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즉 섭취가 가능한 화장품 시장이 급부상 하고 있다. 기존의 영양제나 비타민과 달리 이너뷰티 식품은 유효한 성분들로 집중 구성되어 피부에 직접적인 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간편한 스틱 젤리 타입 등으로 제작되어 언제 어디서든지 간편히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나. 산업특성

 

기능성 천연화장품의 산업구조는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아래 표와 같이 유기농업, 축산업 등의 후방산업과 화장품산업, 미용 서비스 산업 등의 전방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