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제주 건강·뷰티생물산업 클러스터 및 기업지원 성공사례 : 생물자원을 중심으로

  • 등록일2016-07-27
  • 조회수13408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img_160801_7.jpg

 

1. 제주 건강·뷰티 생물산업 클러스터 개요

 

가. 건강뷰티 생물산업 개념 및 특징

 

건강뷰티 생물산업은 제주지역의 생물다양성자원을 활용하여 산업화가 가능한 분야, 1차 및 3차 산업과 연계성이 높은 분야, 제주 청정 이미지와 부합되는 분야 및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기준을 두어 선정되었는데, 건강하고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향장품, 기능성식품 및 종자산업을 묶어 ‘건강뷰티 생물산업(Health & Beauty Bio-Industry)’이라 명명하였다.

img_160801_8.jpg

 

[그림 1. 제주 건강뷰티 생물산업의 개념]

출처 : 제주생물산업기술발전 10개년 계획

 

건강뷰티 생물산업은 제주의 청정 환경과 8,000여종의 생물다양성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자원 활용형 클러스터 유형으로 조성, 육성되어지고 있다. 자원 활용형 클러스터는 R&D 및 제조 기반의 클러스터에 비하여 자원의 원활한 활용에 집중해야 함으로 제주도내 각 지역별 특이 자원을 중심으로 하는 클러스터 조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즉, 건강뷰티 생물산업 클러스터는 향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산업 중심의 허브 클러스터와 각 지역별 특이 자원 중심의 미니 클러스터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광의적 개념에서 제주 건강뷰티 생물산업의 규모는 2013년 기준으로 기업체 수 372개, 종사자 수 4,597명, 매출액 9,643억원에 이르고 있다.

 

img_160801_9.jpg

 

[그림 2. 제주 건강뷰티 생물산업의 규모]

출처 : 제주 바이오산업실태조사보고서

 

특히, 최근에는 제주 화장품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데, 2004년 8개사에 불과하던 화장품 관련 기업체 수가 2015년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기업체 수는 87개에 이르고 있다. 제주화장품 업체 매출액도 2,600억원 규모로 성장하였다. 제주특별치도는 ‘청정자원 활용 천연 화장품산업 허브 도시 육성’이라는 비전을 두고 제주 화장품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다.

 

나. 건강뷰티 생물산업 클러스터 현황

 

제주시권은 제주시 아라동 일원에 제주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 제주첨단과학단지, 제주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등과 제주시 중앙로에 위치한 제주테크노파크 본부동이 연계하는 건강뷰티 생물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제주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는 연구형 기업지원센터(5,684㎡)와 중견 바이오 기업체에게 생산임대 공간을 제공하는 기업지원동(7,42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자체가 지원하는 CGMP 제주화장품공장(1,188㎡)을 구축하여 향장품산업 육성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바이오융합센터에는 40여개 기업체가 입주하여 생산 활동을 하고 있다.                                      

img_160801_10.jpg

 

[그림 3. 제주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와 화장품공장]

출처 : 제주TP자료

 

제주시 영평동 일원에 조성된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1,098,878㎡)에는 BT, IT 관련 기업들이 공장을 설립하고 있는데, 생물산업 관련 기업체는 ㈜BMI 등 10개가 있다. 제주 국제자유도시개발 센터의 기업 보육동인 스마트빌딩에도 20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제주대학교 기술혁신센터 역시 GMP 식품공장과 10여개의 입주업체 공간을 구축하고 있다. 


 

img_160801_11.jpg

 

[그림 4. 제주시 아라동 일원의 건강뷰티 생물산업 클러스터]

출처 : 제주도 지역산업발전계획

 

제주시 동부지역에는 지하염수인 용암해수를 활용해 식품, 기능성 음료, 화장품 등을 만드는 용암해수산업단지(197,341㎡)가 조성되었다. 산업시설 용지에는 ㈜ 제이크레이션 등 8개 기업체가 용암해수 활용 공장을 구축하고 있으며, 지원시설 용지에는 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산업화지원센터(2,011㎡) 건축되어 입주공간 제공 및 용암해수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연구 및 제품개발과 홍보 등의 기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용암해수산업화지원센터에는 해수담수화장비(역삼투압 장비)와 전기투석장치 등을 구축하여 육상에서 용암해수를 취수, 가공하여 기업체에게 공급하고 있다.

 

서부지역은 농업기술원 농산물 원종장 중심으로 농업바이오(씨감자 생산), 한방약초 재배 및 가공 등과 같은 종자산업 육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석창포, 백년초 등의 한약자원을 활용하여 재배, 가공 및 관광 연계 마케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6차형 산업 모델을 새롭게 추구하고 있다.

 

서귀포시 남원읍 일원에는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4,56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 등이 설립되어 지역 특산물인 감귤 및 특산작물 이용 산업체와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자생식물, 해조류, 미생물 등에 대한 추출물 은행, 종자은행, 유전자은행을 구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자원에 대한 생리활성 검색, 안정성, 유효성 평가 등을 통해 기능성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생물산업 기술혁신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서귀포시 서부지역에는 헬스케어타운(1,494,923㎡)이 조성되고 있는데, 헬스케어센터 등의 의료 및 연구시설, 장기요양 시설 등의 숙박시설, 재활훈련센터 등의 휴양문화시설 구축되고 있으며, 중문관광단지와 연계하는 휴양형 항노화 클러스터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 과학 등을 연구·개발하는 의료 R&D 센터와 노화예방 및 생명연장 등을 연구하는 안티 에이징(Anti-Ageing) 센터가 구축될 예정이다.

 

 

2. 제주 생물자원의 활용 현황 및 기업 성공사례

 

가. 제주 생물자원의 활용 현황

 

(1) 제주 생물다양성 자원

 

제주지역은 생물의 북방과 남방 한계의 교차점으로 한라산과 중산간 습지 및 해안지대에 미생물자원을 제외하고도 8,000여종의 생물종다양성 자원을 가진 생물유전자원의 보고이다. 곤충자원을 포함한 동물자원은 4,800여종, 육상식물 2,000여종, 해조류 70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생물자원 중에서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아 화장품, 식품 등의 소재로 폭 넓게 활용되고 있는 주요 자원은 <표 1>과 같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