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바이오 인큐베이터 동향
- 등록일2017-07-28
- 조회수9425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김병엽 사업국장 /(사)한국창업보육협회
-
발간일
2017-07-28
-
키워드
#바이오 인큐베이터#바이오산업생태계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인큐베이터 개요
가. 개념
인큐베이터(Incubator, 중기청은 ‘창업보육센터’ 명칭을 사용)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창업 여건이 취약하여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창업자(예비창업자)를 일정기간 입주시켜 기술 및 경영, 자금 등의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과 관리로 기업의 생존력과 경쟁력을 향상시켜 기업 생태계에서 자생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을 말한다.
인큐베이터라는 개념이 처음 도입된 시기는 1991년 (구)생산기술연구원에서 역외 방식으로 기술 인큐베이터 사업을 시작한 때로 보고 있으며, 현재의 입주방식은 1993년 (주)중부산업컨설팅의 영동창업보육센터 개소를 시초로 삼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운영은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새로운 분야로의 창업지원에 대한 인큐베이터가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 정부 주도에 의한 벤처기업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시작하여 2000년까지 240개의 인큐베이터를 지정하고 지원하였다. 인큐베이터는 전국의 대학 및 연구소를 거점으로 기술창업을 위한 인프라로 자리매김하였다.
나. 지정 및 지원
인큐베이터를 설립하고 운영하려는 기관은 매년 초 중소기업청장이 공고하는 신규지정 사업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평가를 통해 선정되어야 한다.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6조의 요건은 ①10인 이상의 창업자가 사용할 수 있는 500제곱미터 이상의 시설 ②경영학 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등 전문인력 2명이상 확보 ③창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시험기기나 계측기기 등의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신규사업자로 선정되면, 신청 기관이 보유하거나 임대를 통해 확보한 일반 건물을 인큐베이터 용도의 리모델링 비용을 최대 3억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인큐베이터는 매년 운영 성과평가를 통해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보육역량 강화나 특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업비도 지원한다.
<중소기업청 지정 인큐베이터 년도별/사업별 예산 현황, 단위: 백만원>
항 목 | 주 요 내 용 | 2015 | 2016 | 2017 | 소계 |
건립비 | · 신규지정 리모델링 · 노후시설 개선 | 3,000 | 2,500 | 3,000 | 8,500 |
운영비 | · 전년도말 기준으로 경영평가 · 지역별 상대평가로 차등지원 | 12,140 | 12,140 | 10,360 | 34,640 |
사업비 | · 인큐베이터 역량강화 지원 · N/W형/맞춤형/액셀러레이터형 | 7,500 | 8,100 | 8,000 | 23,600 |
합 계 | 22,640 | 22,740 | 21,360 | 66,740 |
자료 : 내부자료 정리
다. 운영 현황
인큐베이터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공공기관이나 민간이 운영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큐베이터가 있지만 여기서는 중소기업청에서 지정한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2017년 6월말 기준으로 전국에 265개의 인큐베이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 주체는 대학이 197개(74.3%)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인력과 장비 그리고 시설이 창업 지원을 위해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요소가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방(서울/경기/인천 제외)에 177개(66.8%)의 인큐베이터가 비교적 균등하게 위치하고 있지만, 인천 4개와 울산 1개는 광역시 인구 대비 인큐베이터 시설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운영주체 및 지역별 인큐베이터 현황, 2017.6월말>
지역 | 대학 | 연구소 | 정부/ 지자체 | 공공기관 | 재단/ 협회 | 민간 기관 | 합계 | |||
국립 | 공립 | 사립 | 소계 | |||||||
서울 | 2 | 1 | 18 | 21 | 1 | 1 | 3 | 6 | 5 | 37 |
인천 | 1 | - | 2 | 3 | - | - | - | 1 | - | 4 |
대구 | 1 | - | 6 | 7 | - | 1 | 2 | 2 | - | 12 |
경북 | 2 | 1 | 17 | 20 | - | 1 | - | 1 | - | 22 |
경남 | 4 | 1 | 8 | 13 | 2 | 1 | - | 2 | - | 18 |
대전 | 3 | - | 6 | 9 | 3 | - | 2 | - | - | 14 |
충남 | 1 | - | 13 | 14 | 1 | - | - | 2 | - | 17 |
세종 | - | - | 2 | 2 | - | - | - | - | - | 2 |
부산 | 3 | - | 10 | 13 | 3 | 1 | - | 1 | - | 18 |
울산 | - | - | 1 | 1 | - | - | - | - | - | 1 |
충북 | 2 | 1 | 10 | 13 | - | 1 | - | - | - | 14 |
광주 | 2 | - | 9 | 11 | 1 | - | 1 | - | - | 13 |
전남 | 4 | 1 | 2 | 7 | - | - | - | 5 | - | 12 |
전북 | 3 | - | 7 | 10 | 2 | 1 | - | 2 | - | 15 |
경기 | 2 | - | 34 | 36 | 3 | 3 | 1 | 2 | 2 | 47 |
강원 | 3 | 1 | 9 | 13 | - | - | 1 | 1 | - | 15 |
제주 | 1 | - | 3 | 4 | - | - | - | - | - | 4 |
합계 | 34 | 6 | 157 | 197 | 16 | 10 | 10 | 25 | 7 | 265 |
비율(%) | 12.8 | 2.3 | 59.3 | 74.3 | 6.0 | 3.4 | 4.2 | 9.4 | 2.7 | 100 |
자료 : 창업보육센터네트워크시스템(Bi-net) 자료 정리
라. 성과
최근 3년 평균 273개 인큐베이터의 6,123개 입주기업이 매년 1.8조원의 매출과 1.9만명의 고용으로 지역경제의 기반 구축과 일자리 창출에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계속 입주기업의 매출과 고용이 전년도 대비 33.4%와 20.3% 증가와 2016년 10월 중소기업연구원의 ‘창업보육센터 졸업기업 성과분석’ 자료에서 졸업기업의 높은 생존율( 67.0%/5년)은 인큐베이터의 순기능과 역할을 보여준다.
<중소기업청 지정 인큐베이터 년도별/사업별 예산 현황>
구 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평균 | |
BI수(개) | 282 | 272 | 266 | 273 | |
기업수(개) | 6,254 | 6,275 | 5,840 | 6,123 | |
매출(억원) |
| 17,117 | 17,330 | 18,934 | 17,794 |
기업당 | 2.7 | 2.8 | 3.2 | 2.9 | |
고용(명) |
| 18,356 | 18,536 | 18,975 | 18,622 |
기업당 | 2.9 | 3.0 | 3.2 | 3.0 |
자료 : 중기청,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방안(2016.12) 재정리
<2017년 창업보육센터 경영평가중 계속 입주기업 자료>
구 분 | 2015년 | 2016년 | 증가율 |
매출(억원) | 11,535 | 15,389 | 33.4% |
고용(명) | 11,838 | 14,255 | 20.3% |
자료 : 2017년 창업보육센터 경영평가 자료정리
<년도별 입주/졸업기업 현황, 단위: 개>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평균 | |
입주 기업 | 신규 | 2,294 | 2,371 | 2,536 | 2,186 | 1,925 | 2,262 |
계속 | 2,829 | 3,140 | 3,718 | 4,089 | 3,915 | 3,538 | |
합계 | 5,123 | 5,511 | 6,254 | 6,275 | 5,840 | 5,801 | |
졸업(퇴거)기업 | 1,935 | 1,983 | 1,793 | 2,165 | 2,360 | 2,047 |
자료: 중기청,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방안(2016.12) 재정리
<창업보육센터 졸업기업 생존율>
구 분 | 2003년 | 2005년 | 2010년 |
생존률(%) | 71.6 | 67.0 | 60.2 |
자료 : 중소기업연구원 창업보육센터 졸업기업 성과분석(2016.12)
마. 정책방향
´90년대 후반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벤처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문인력과 장비 등의 활용이 용이한 대학·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인큐베이터를 설립하였다. 이는 가장 보편적인 창업인프라로 자리매김 하였다.
하지만 선진국은 창업시장의 요구에 따라 창업보육모델의 창업기업 성공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으나 우리나라는 창업공간 및 사업화 등의 초기 보육모델에 머물러 있어 관련 제도 및 기술창업 정책의 재정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중소기업청은 인큐베이터의 자립화를 위해 운영비 배분체계를 재정비하고, 역량강화를 위해 역량별 맞춤지원 확대와 기반 확충을 위해 저성과 인큐베이터 퇴출제도를 정비하는 ‘창업보육지원체계 전면 혁신방안’을 ′16.12. 발표하였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치매 진단연구
-
다음글
- 바이오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