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국내외 치매 연구개발 정책동향

  • 등록일2017-09-13
  • 조회수13924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김기원 부센터장&진료전임강사/중앙치매센터&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간일
    2017-09-13
  • 키워드
    #치매
  • 첨부파일

img_170914_1.jpg

 

1. 국내외 치매 연구개발 정책 동향 파악의 배경 및 필요성

 

가. 국가 치매 관리의 장애물 : 진단 장벽

 

인구 고령화 추세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3초마다 한명씩 새로운 치매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약 7천 5백만명, 2050년에는 약 1억 3천만명에 이르기까지 20년마다 두 배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전국치매역학조사를 통해 확인된 표준화 치매유병률(연령, 성별, 교육, 지역 표준화)은 60세 이상 노인에서 6.9%이였으며,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추산한 2017년 추정 치매유병률과 추정 치매환자 수는 각각 약 7%와 약 72만 명이었다2). 치매 환자의 증가 속도는 급속한 고령화 속도로 인하여 다른 OECD 국가의 증가 속도보다 4.5배 가량 빠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치매 진단은 절대적인 바이오마커가 없어 전문가의 문진과 진찰, 자세한 인지기능평가, 뇌영상검사, 혈액 혹은 뇌척수액 검사 등을 종합한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이렇듯 진단에 쓰이는 바이오마커의 부재로 인해 치매 진단에는 ‘치매로 인해 plaque와 tangle이 피질 내 누적되고 확산된 뒤, 증상 발현으로 인해 진단을 받기까지’통상 20~30년이 소요된다3). 만약 치매 조기검진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시기를 1년만 앞당길 수 있다면 20년 후에는 치매 유병률이 약 10% 낮아질 수 있고4) 현재 대한민국 치매현황 추계를 기반으로는 7만 2천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기에 약물치료로 연계할 경우에 1인당 절감 가능한 비용은 연간 1,200만원에 이르고, 8년간 약 6,400만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은 약 절반가량 감소하게 된다5).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치매를 조기진단하는 기술 발전의 필요성은 최근 이뤄진 치매 진단검사 및 치료에 대한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와도 연결된다6). 조사 결과 진단검사로 연계 시 주된 포기 사유가 ‘비용에 대한 부담’이 74.6%로 가장 높았고 치매 진단을 받았을 때 치매 진행을 늦추는 치료를 받을 것에 대해서는 88.3%가 긍정적으로 답한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요는 OECD에서 ‘저비용, 비침습 치매 조기진단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한 치매 환자 진단 장벽 해소’를 10대 치매관리 핵심전략 중 하나로 꼽은 것7)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


1) ADI(2015), World Alzheimer Report 2015, The Global Impact of Dementia.
2) 중앙치매센터(2017), 2016년 전국치매역학조사 최종보고서.
3) Braak H, Braak E. Evolution of neuronal changes in the course of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998; Supplementum. 53:127-140.
4) Anthony F. Jorm, Keith B.G. Dear, Nicole M. Burgess. Projections of future numbers of dementia cases in Australia with and without prevent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ume 39, Issue 11-12, Nov. 2005, Pages 959–963
5) 나에게 힘이 되는 치매 가이드북. 중앙치매센터, 2015
6) 치매 진단검사·치료에 대한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5.
7) 치매에서의 존엄성: 정책을 통해 치매 환자의 삶을 어떻게 개선해 나갈 것인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4.


 

 

나. 국가 치매 관리의 장애물 : 치료 장벽

 

치매의 현재 식약청에서 승인된 치료제는 크게 콜린성 신경계 조절 약물과 NMDA(N-Methyl-D-aspartic acid) 수용체 길항제 약물로 나뉘고 이들의 효과는 증상의 완화작용에만 이르는 수준으로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치매 중에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파이프라인8)에는 현재 Phase III가 24종류, Phase II가 45종류, Phase I이 24종류 포함되어 있다. Phase III에는 24종류의 치료제(7개의 증상대비 인지기능 개선제, 17개의 질병조절치료제)가 36개의 임상시험을 통해 진행 중에 있고 질병조절치료에의 76%가 아밀로이드를 타겟으로 한다. Phase II에는 45개 종류의 제제가 52개의 임상시험을 통해 진행 중이고 이들 중 30개가 질병조절치료제(26개의 소규모 분자치료제, 4개의 면역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 리뷰에 따르면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출한 후 시장 진입까지 알츠하이머의 치료제 후보물질 성공률(0.5%)은 HCV(C형간염 바이러스, 성공률 2%)의 1/4,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성공률 4.6%)의 1/9정도로 희박하다9). 낮은 성공률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은 계속되고 있다. 2018년 경 허가를 전망했던 베루베세스테트는 지난 2월 임상 3상을 중단했지만 증상이 없거나 미약한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별도 임상시험을 계속 진행하기로 하였다. 릴리와 아스트라제네카가 함께 개발중인 AZD3293은 2016년 8월 FDA Fast Track 대상으로 선정, 바이오젠-에사이의 BACE(beta-secretase) 억제제 E2609는 작년 FDA 임상 3상 허가가 났다. 암젠-노바티스의 CNP520, GSK의 GSK933776 등도 임상 진행 중에 있다10).

 

국내 제약회사들에서도 천연물질을 기반으로 한 신약, 줄기세포치료제, 펩다이드의약품 등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고 임상 1상 혹은 2상 단계 중에 있다. 젬백스앤카엘의 펩타이드의약품, 네어처셀, 차바이오텍, 메디포스트의 줄기세포치료제, 대화제약과 일동제약의 천연물질 기반 신약 치매치료제가 임상에 앞장서고 있으며 천연물 소재로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 억제를 하는 'DA-9803'은 미국 임상 시작을 앞두고 있다. 오리지널제품의 순응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제너릭 제제 개발에 앞장서면서, SK 케미칼의 엑셀론 패취 제너릭은 미FDA 허가 신청을 하여 미국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다. 아이큐어는 경피약물전달 원천기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고 도네페질 패취제 임상 3상을 한국, 호주, 대만, 말레이시아 4개국 588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에 있다.

 

낮은 성공률에도 불구하고 치매 치료제 개발에 대한 도전은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치매보호자의 부담을 높이고11) 환자의 기능저하와 관련이 높으면서12)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고13), 복약 용량을 높이는14) 정신행동증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표준지침 마련은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신행동증상의 조절이 미흡하여 요양시설이나 병원으로부터 치료 거부를 당하기 쉽고, 가족들이 직접 돌보기에는 부담이 커 떠돌아다니게 되는 ‘치매난민’이라는 단어를 염두에 둔다면 적절한 정신행동증상 평가와 치료적 개입, 표준지침 마련과 이를 위한 근거창출연구는 시급한 정도다. 정신행동증상의 종류 혹은 치료제에 대한 효과, 반응률은 치매 진행 단계와 원인 질환 외에도 인구학적 변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보고15)를 기반으로 할 때도 ‘한국형 치매노인의 정신행동증상치료 표준지침’마련이 꼭 필요하다.

------------------------------------------------------------------------------------------


8) Alzheimer’s drug-development pipeline: 2016. Jeffrey Cummings, Travis Morstorf, Garam Lee. Alzheimer’s & Dementia: Translational Research & Clinical Interventions 2 (2016) 222-232
9) What does it take to produce a breakthrough drug? Dirk Calcoen, Laura Elias & Xiaomeng Yu.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4, (2015) 161–162 
10) [포럼] 치매 치료제 개발 민관 협력 확대해야. 황순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약산업지원단장. 디지털타임스. 2017.8.23.
11) Fischer C.E., Ismail Z., and Schweizer T.A.: Impact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on caregiver burde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Neurodegener Dis Manag (2012) 2: pp. 269-277
12) Fischer C.E., Ismail Z., and Schweizer T.A.: Delusions increase functional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12) 33: pp. 393-399
13) Karttunen K., Karppi P., Hiltunen A., Vanhanen M., Välimäki T., Martikainen J., et al: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very mild and mild Alzheimer's disease. Int J Geriatr Psychiatry (2011) 26: pp. 473-482
14) Behavioral and psychologic symptoms in different types of dementia. Chiu, MJ, Chen,TF, Yip PK, Hua MS and Tang LY. J. Formos. Med. Assoc.(2006). 105, 556–562.
15)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J.Cerejeira, L.Lagarto and E.B.Mukaetova-Ladinska. frontiers in neurology. May (2012) Vol 3. Article 73

 

다. 국가 치매 관리의 장애물 : 돌봄 장벽

 

돌봄 장벽에는 크게‘노동집약적 서비스 중심이 가지는 한계’와 지역적, 각 개인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접근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현재 공적 및 사적 돌봄 모두가 노동집약적 서비스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생산인구 급감과 노령층의 경제적 한계로 인해 지속 가능성에는 한계를 가진다.‘고용창출’이라는 긍정적 효과로만 비춰졌던 돌봄 서비스 일자리16는 생산 인구가 줄어들면서 해당 빈자리가 공백으로 남고, 정작 서비스를 받을 수요자와 공급자의 균형이 무너지는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현재 점점 증가하는 고령인구 층에 따라 독거노인과 부부치매가구의 비율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들의 비율은 치매관련시설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서산간일수록 높고, 이러한 지역일수록 서비스 접근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 ICT 기반 연구가 치매에 관련하여서는 양적, 질적으로 모두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국내외 연구개발 정책동향을 돌아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연구개발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16) 국내 의료서비스산업의 고용 창출 제고 방안과 정책과제. 김요은 저. 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14)


 

 

2. 국내외 연구개발 정책동향

 

가. 국외 동향

 

1) 안정적인 법·제도를 통한 지속적인 연구 기금 확대

 

미국의 경우, 오바마 행정부 시절부터 연방정부 차원에서 치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치매 관련 법률 제정 및 연구개발 중점적 지원이 이뤄졌다. 1992년 알츠하이머 질병 및 관련 치매연구법을 비롯해, 2011년 국가 알츠하이머 프로젝트법 및 2014년 알츠하이머 책임법을 제정하여 적극적으로 연구 지원을 했다. 이는 2012년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추진을 위해 15,600만 달러 투자가 이뤄졌던 치매관련 연구에 2015년 알츠하이머 연구비로만 2,500만 달러 추가 배정으로 이어졌고 2016년 update plan을 통해서도 5천만 달러 추가 투자로 이어지게 됐다. 2016년 추가 350백만 달러의 투자를 차치하고도, 2011년 대비 2015년에만 연구기금 30% 증대가 있었고 이는 정책적 근거를 통한 안정적인 기금확대의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제도적 근거를 통한 안정적, 지속적인 연구비 확대가 비단 미국에서만 이뤄지는 내용은 아니다. 프랑스 역시 대형연구기관인 국립과학연구소, 국립보건의학연구소, 국립농학연구소, 국립전산 자동화연구소, 국립연구청, 대학, 대형연구 인프라 등 ‘미래를 위한 투자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지원으로 매년 약 4억 5천만 유로를 지원하는 것을 정책으로 명시하였다. 영국 역시 런던에서 개최되었던 치매 정상회의에서 치매관련 연구개발에 2015년에만 6,600만 파운드의 투자 계획 및 치매를 비롯한 뇌질환 연구에 향후 5년간 1억 파운드 투입을 계획으로 발표하였다17. 캐나다 정부와 민간 파트너들은 연구 파트너쉽 구축에 3천 2백만 달러 투자(National Dementia Research and Prevention Plan)를 계획하였고 이러한 추세는 WHO에서 세계보건기구 장관급 회의를 열고, 치매에 대한 보건 및 사회복지 전달 혁신을 위해 각 국가 치매관리비용의 약 1%를 치매극복 연구비로 투자되어야 한다고 제언한 것과도 일치하는 움직임이다.

------------------------------------------------------------------------------------------ 


17) 치매 분야 국가연구개발 조사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기획단 정안나. 2015.

 

2) 효율적인 연구 수행과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보망 구축

 

미국의 경우 의료서비스 체계 내 통합정보망을 구축하여 치매환자의 병원 방문 및 진료 기록 전산화로 중복 서비스를 최소화하고, 의료 기관에 관계없이 적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미 정부에서는 이러한 통합 정보망에는 치매환자에 대한 진료에 참고가 될 진료기록과 상담일지 등을 포함하여 응급실 방문 시 불필요한 서비스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취지를 두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알츠하이머병 국가정보센터의 기능 활성화를 통해 기억력진단연구센터들 간의 관련 경험, 전문지식, 평가도구를 공유하도록 하고 알츠하이머병 국가정보센터와 기타 퇴행성뇌질환 연구센터 간 파트너십 활성화와 재정 지원 확대를 도모하였다. 결국 이러한 현행 연구에 대한 적극적이고 다차원적인 제반 지원이 다양한 각도의 치매 연구가 가능하도록 촉진하고 있다. 의료-복지 연계 정보망을 구축하여 이에 따른 실태조사가 주기적, 현실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고 이는 동시에 진단과 치료, 돌봄에 대한 통합적인 데이터 획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탈리아는 치매환자들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회적 불평등과 취약 계층 돌봄 개선을 목표로 하고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 간 돌봄 방법, 서비스 질 등의 정보가 공유되는 정보망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복지서비스 당국과 지방자치단체가 사회적으로 취약한 치매환자를 파악하고 개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적절한 정책 수립의 근거 창출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본은 치매환자의 치료 경로별 정보가 돌봄 체계와 연계되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정보망 내에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서포터즈 등) 정보를 포함하여 원활한 활용 지원을 하고 있다.

 

3) 임상시험 참여증진과 산업화 모델 지원

 

치매 병리 기전에 대한 기초연구 및 중개 연구를 수행하고 신약 개발 및 임상적 프로토콜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치매관련 임상시험 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임상시험 참여증진을 위한 여러 가지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지역사회, 국가 및 범세계적 지원이 임상연구 참여 증진을 위해 필요함을 정책적으로 제언하고 알츠하이머병 연구에 대한 소수 인종 참여 증진 전략을 개발하고 유망 치료제에 대한 임상 시험 수행, 생활양식교정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지속을 장려하고 있다.


프랑스는 환자 및 가족의 임상시험 참여를 정부 차원에서 독려하고 있으며 특히 대중이 선호하는 교육적 내용이 함유된 팟캐스트 방송, 토크쇼 등의 방식으로 홍보를 하고 있다.

 

일본은 인지증 환자가 쉽게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구축을 목표로 하고 기반 마련에 있다. 임상연구 지원 외에도 연구 인프라 강화를 통한 제반 구축에서는 프랑스에서 치료-연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퇴행성뇌신경질환-우수센터국제 네트워크(COEN) 기반 국가 우수연구 센터 승인 제도를 두어 지원하며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연방 기관과 민간 부분의 협력 극대화를 장려하는 형태로 독려하고 있다. 또 그 성과 확산을 위해 임상 및 공중보건 현장으로 연구 성과 중개 시간 단축 및 민관협력 강화를 통한 중개,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

 

4) 연구 정도 관리와 중복 관리의 거버넌스 확립과 빅데이터 관제

 

OECD는 2015년, 치매 연구의 발전을 위해 빅 데이터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의료 및 보건 체계의 종합적인 데이터 공유를 통해 치매 연구의 동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공표하였다. 또 데이터 거버넌스의 7가지 관점(유효성, 국가간 상호 운용성, 접근성, 정확성, 추적가능성, 보장성, 소유권)을 제시하였다.

 

미국과 같은 경우 NIH(미국국립보건원)에서 알츠하이머병 극복을 위한 연구 우선순위와 추진 계획을 수립 조정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 다학제로 구성된 연합운영 위원회에 연구 기획 및 조정 기능을 부여하고, COPIL Recherche라는 연구평가운영위원회에 성과 평가를 위임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치매 예방과 지연,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는 Canadian Consortium on Neurodegeneration in Aging(CCNA) Dementia Research and Prevention Plan)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영국은 치매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연구비 지원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해 Dementia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Research Network(이하 DeNDRoN)를 운영하면서 2013년 한화 약 2조원 규모 예산을 투입, 빅데이터 통합센터 (HSCIC;Health & Social Care Information Center)를 설립하여 의료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의료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5) 수요자 중심의 신기술 개발 촉진

 

점차 노인 부부가 늘어남에 따라 치매부부의 비율 증가가 전망되고, 독거노인 비율도 증가함에 따라 수요자 맞춤형 신기술 개발 촉진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연구 분야이다18).

------------------------------------------------------------------------------------------ 


18) 국제치매정책동향보고서. 2016. 중앙치매센터.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정책적으로 가족 조호자 지원을 위한 비침습적 센서 기반 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있으며, 영국은 Telecare 보조 기술 지원을 통하여 다양한 자택원격치료 및 돌봄 기술 확립에 앞장서고 있다. NHS CRS (Care Records Service) 정책 시행으로 개인의 건강요약기록을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축하고 의료 분야 스타트업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정책 지원에 집중하고 기업들이 관련 기술과 지식을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등 ICT 기반 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장려하고 있다. 또한 Genomics England를 설립하여 유전체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개인 의료 정보와 결합하여 맞춤형 진료를 개발하여 사업화 지원을 하고 있다.


프랑스는 인지 기능 자극술, 로봇공학, 인터페이스, 이동성과 관련된 여러 독립적인 리빙랩을 구축하여 적극 장려하고 국립전문기술센터에 의해 개발된 기능성 게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약물과다복용 방지 전자장치, 위치추적 팔찌 등의 기술 제안을 꾸준히 하고 있다.


또한 유럽 연합은 AAL(Ambient Assisted Living)프로젝트를 추진하여 2008년 23개 참가 국가에서 점차 확장하고 있으며 2013년까지 총 6억 유로를 투입해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더불어 EU 국가 간 협력을 통해 관련 기업과 협업하여 ICT 융합 의료산업프로젝트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축적하는 형태로 사용자 중심 ICT활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돌봄 지원에 관련한 연구 사업의 체계적 관리와 확대 역시 캐나다의 경우에는 리프팅 장치 연구 추진, 독일은 낙상과 같은 위험상황 및 배회감지 추적기술 개발을 정책 내 포함하여 진행 중에 있고, 일본은 조호 로봇과 보행지원기기 등을 개발하는 것을 정책적 목표로 포함해 추진 중에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